by김현아 기자
2015.03.18 01:10:38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최근 정부 내에서 미디어 정책이 홀대받고 있는 듯 보이나 역대 정부와 미디어는 뗄 수 없는 관계였다.
김대중 정부 시절 통일시대를 대비한 방송플랫폼으로 허가한 ‘위성방송’, 김영삼 정부 시절 지상파 난시청 해소와 지역문화 창달을 위해 육성한 ‘케이블TV’,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거쳐 별도법 형태로 상용화를 시작한 ‘IPTV’까지.
특히 케이블 방송의 강한 규제를 비켜간 경쟁매체 IPTV의 상용화는 케이블 업계에는 직격탄이 됐다. 여기에 이명박 정부는 지상파 3사처럼 뉴스와 드라마 등을 함께 편성할 수 있는 종합편성채널 4개(JTBC, MBN-채널A-TV조선)도 허가했다.
박근혜 정부도 미디어의 영향력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2013년 2월 25일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한 달 반이나 지나 미래창과학부가 출범한 것은 케이블TV(SO)를 어느 관할로 할 지를 두고 국회가 다퉜기 때문이다. 당시 연일 신문지상에는 ‘케이블TV(SO) 규제권 두고 갈등’이라는 제목이 실렸다.
결국 미래부에 유료방송 진흥 기능을, 방송통신위원회에 지상파·종편·통신사 사후 규제 등의 업무를 주는 것으로 정리됐지만, SO가 미래부로 넘어간 뒤 정말 ‘소(SO)를 살렸는 가’는 미지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