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강 팔당호까지 확산된 녹조류 사태

by논설 위원
2016.08.18 06:00:00

수그러들 줄 모르는 폭염과 가뭄으로 전국 하수면에 녹조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식수원으로 사용되는 주요 강과 호수도 예외가 아니다. 금강 대청호와 영산강, 낙동강 등에 조류경보 첫 단계인 ‘관심’ 단계가 발령된 상황이다. 며칠 전에는 수도권 식수원인 한강 팔당호에서도 녹조가 관찰됐다. 텔레비전 화면으로 비쳐진 녹조의 색깔이 마치 크레용을 칠해놓은 듯 진하다.

녹조가 발생하는 원인은 기온 상승과 하천의 오염에 있다. 날씨가 더워지거나 생활 오폐수에 섞여 버려지는 질소나 인 등 화학물질 농도가 높아질수록 녹조가 많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식물 플랑크톤의 일종인 남조류가 이러한 영양염류를 빨아들여 대량 번식하면서 물빛이 초록색으로 변하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물에서 악취를 일으키고 비린내가 나기도 한다. 아직 물고기의 집단폐사 사태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니 그나마 다행이다.

여름철에는 수돗물 소비가 훨씬 늘어난다는 점에서도 녹조류의 발생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 녹조가 심해지면 정수 과정에서 소독약을 더 풀어야 할 것이고, 따라서 먹는 물은 물론 생활용수 사용에 있어서도 심리적으로 위축받을 수밖에 없다. 불볕더위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전기 사용에 이어 수도꼭지 트는 데조차 신경을 써야 한다면 그처럼 짜증나는 일도 없을 것이다.



녹조 현상이 4대강 사업으로 인해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도 이 기회에 확실히 밝힐 필요가 있다. 유속이 느려지면서 녹조류 발생 여건을 만들어 줬다는 것이다. 어류 생태계가 훼손됐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하지만 수질 문제가 사회적인 현안으로 떠오를 때마다 4대강 사업에 대한 평가가 정치적인 공방으로 변질되는 것은 그렇게 유쾌한 모습이 아니다.

당장 중요한 것은 정부의 효과적인 대응책이다. 수돗물 안전을 위해서는 물론 생태계의 균형을 침해받지 않으려면 지자체와의 합동 작전으로 초동 단계에서부터 면밀한 대책이 따라야 한다. 녹조발생 구역에 대한 오염물질 저감 활동에 집중하는 한편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폐수 차단에도 각별히 신경을 기울여야 한다. 녹조가 그동안 별로 발생하지 않던 한강 수계에서도 발생했다는 점에서 올해는 보통 상황이 아님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녹조 라떼’에서 걸러진 수돗물을 마시는 상황만큼은 피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