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결국, 지방선거 과제로 남은 '무늬만' 공천

by정다슬 기자
2014.06.12 06:20:00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이번에도 ‘무늬만’으로 끝났다. 아니, 오히려 후퇴했다는 평가다. 지역사회가 선택한 후보를 공천하겠다는 취지의 ‘상향식 공천’은 지도부만 올려다보는(上向) 공천이라는 냉소주의만 낳은 채 씁쓸함만 남겼다.

제대로 된 공천을 하지 못했다는 비난에는 여(與)도 야(野)도 자유로울 수 없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은 모두 이번 지방선거에서 공천추천위원회 대신 공천관리위원회를 뒀다. 중앙당이 공천에 직접 관여하는 것이 아닌 관리에만 집중한다는 의도였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마음에 들지 않은 후보를 배제하는 기구로 변질됐다.

새누리당은 경선 후보를 경쟁력에 따라 압축하는 자격심사(컷오프) 기준이 일정하지 않아 구설수를 샀다. 상주·청송 등 무공천지역은 그 이유조차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다. ‘현역의원의 공천개입 금지’를 내세우며 무공천까지 하려던 새정치연합 역시 마찬가지다. 마음에 드는 후보가 공천될 때까지 중앙당에서 ‘비토(veto)를 놓는’ 상황이 비일비재했다. 불과 나흘 동안 경선후보가 2명→1명→2명→3명으로 바뀐 여수시장 선거는 대표적 블랙코미디다.



상향식 공천 기준 역시 잡음이 많았다. 새누리당은 여론조사를, 새정치연합은 여론조사와 공론조사(선거인단을 뽑아 현장 투표하는 방식)를 혼합한 방식을 채택했다. 그러나 여론조사는 인지도가 높은 인물이 높게 나오는 경향이 강해, 현역들이 대거 선출되는 결과를 낳았다. 기득권 배제 명분으로 채택한 상향식 공천이 오히려 기득권 지키기가 된 셈이다. 공론조사 방식도 각 후보 측에서 얼마나 선거인단을 확보하느냐로 승패가 갈리면서 조직·동원 선거라는 비판을 피하지 못했다.

7·30 재보선을 앞두고 또 다시 ‘개혁공천’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유력 당권주자인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은 “그동안 공천권 때문에 개인의 철학과 소신이 억압돼 왔다”며 공천개혁을 선언했다. 안철수·김한길 새정치연합 공동대표도 “당의 문호를 활짝 열고 더 많은 분과 함께 하겠다”며 계파주의를 극복하는 공천을 하겠다고 선언했다. 불과 두 달 전을 ‘리플레이(replay)’ 하는 광경이다.

국민이 어느 한 쪽도 손들어주지 않았다고 평가받는 6·4지방선거. 이번에는 여야가 자신의 말에 책임을 질 수 있을지, 국민이 냉정한 시선으로 지켜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