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한숨 돌린 백신 추가 도입, 그러나 아직 안심 못 한다

by논설 위원
2021.04.26 06:00:00

정부가 코로나 백신 추가 도입 계약을 성사시켜 백신 가뭄 걱정을 일부 덜었다. 범정부 백신도입 태스크포스(TF)는 화이자 백신 4천만회(2천만명)분 추가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주말 밝혔다. 이로써 화이자 백신 확보 물량은 3300만명분으로 늘어났다. 다른 브랜드 백신들까지 다 더하면 9900만명분의 물량이 확보됐다. 이는 국내 총인구 5100여만명의 2배에 근접하고, 집단면역 형성을 위해 최소한으로 필요한 접종인구 3600여만명의 2.8배에 이른다.

그럼에도 아직은 안심할 수 없다. 백신 제조업체들이 공급하기로 계약한 물량을 제때 공급하지 않거나 못하는 일이 거듭되고 있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모더나 최고경영자와 화상 통화로 협상해 따냈다는 모더나 백신 2천만명분은 도입 시기가 2분기에서 3분기 이후로 늦춰질 전망이다. 2분기부터 도입될 예정이던 얀센 백신 600만명분은 실제 도입 시기가 여전히 불투명하다. 정부가 2분기부터 2천만명분을 도입하게 될 거라던 노바백스 백신은 아직 임상시험도 끝나지 않은 상태다.



백신은 실제로 도입되어 접종돼야만 의미가 있다. 지금처럼 도입과 접종이 지연되는 일이 반복된다면 정부가 목표로 한 11월 집단면역 형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 그 사이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생활 공간 구석구석에 더 퍼질 수 있고, 전파력이 강한 변종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릴 수도 있다. 11월 집단면역 형성에 실패한다면 그 뒤로는 겨울철을 맞아 밀폐된 실내 생활이 늘어남으로써 백신 접종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크다. 그러니 정부는 하루라도 빨리, 한 명이라도 더 많은 국민이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해야 한다. 백신 가뭄을 제약회사나 외국 정부 탓으로 돌리려는 생각은 아예 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정부는 백신 국내 공급 일정과 접종 계획을 가급적 소상히 밝혀야 한다. 방역 전문가들은 그동안 투명한 정보공개와 대국민 소통이 방역에 대한 국민의 협조를 끌어내는 데 중요함을 거듭 강조해 왔다. 백신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백신의 도입과 단계별 접종 일정은 물론 그 부작용에 관한 정보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밝혀 불필요한 억측과 논란을 방지하고 국민 불안을 덜어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