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칼럼] 이명에 사로잡히지 않으려면?

by이순용 기자
2024.05.26 08:51:06

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과 남혜정 교수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우리가 이명이라고 부르는 질환은 대부분 자각적 이명을 뜻한다. 외부의 소리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환자 스스로 소리가 들린다고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전체 인구의 약 17~20%, 특히 노인층에서는 약 30~50%까지 나타날 정도로 흔한 질병이다. 과거에는 이명을 일종의 노인병으로 생각했지만,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연령의 환자들이 이명을 호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과 남혜정 교수
환자들은 “선생님 다른 사람들도 이런 소리를 듣나요?” 라고 묻지만 개개인이 호소하는 이명 소리를 매우 다양하면서도 비슷하다. 오랜 임상을 통해서 개인적으로 임상에서 이명 소리를 3가지 정도로 구분한다. 첫째는 소리 자체가 날카로워서 시간에 관계없이 환자를 피곤하게 만드는 소리다. 금속성에 가까운 소리, 울림이 심한 소리, 고음역의 소리가 여기에 해당한다. 환자들은 칼이나 못으로 금속판을 긁는 소리, TV가 꺼져있을 때 나는 소리 (높은 삐 소리), 응급차 사이렌 소리라고 표현한다.

둘째는 가장 흔하고 일반적으로 호소하는 이명 소리로 대체로 자연에서 주변 환경에서 많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이다. 귀뚜라미 소리, 매미 소리, 타이어 바람 빠지는 소리, 냉장고 돌아가는 소리 등이다. 대체로 이런 형태의 소리는 중음역에 해당하고 소리의 크기도 중간 정도이므로 일상생활에서는 크게 의식을 하지 못하지만 조용한 곳에 혼자 있거나 밤이 되면 이명을 의식하면서 환자를 피로하게 만든다.

셋째는 소리가 부드럽고 저음역에 해당한다. 빗방울 소리, 심장 박동 소리, 시냇물 흐르는 소리 등으로 표현된다. 잠자기 전까지는 거의 느끼지 못하고 소리 자체가 힘들게 한다기보다는 이명이 있다는 사실에 대한 불안감과 두려움이 환자를 힘들게 한다. 많은 이명 환자들이 이명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지만 이명이라고 다 같은 상태는 아니다. 환자별 상황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이명의 정도도 다르다. 한의학에서는 이명을 다양한 형태로 구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목표가 되는 약물 처방도 달라지게 된다.

한의학에서는 검사와 환자와의 심층 상담을 통해서 환자로 하여금 이명에 대한 불안감을 덜어주고, 환자의 몸 상태에 따라서 필요한 약물을 처방한다. 예를 들어 염증에 의한 이명으로 진단되면 한약으로 염증을 치료하고, 스트레스로 인한 이명일 경우에는 침과 약물을 통해서 자율신경을 안정시킨다. 침치료와 자율신경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국내 및 국외에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환자가 불면을 호소하게 되면 환자의 불면 상태에 따라 잠을 잘 자는 치료를 하게 된다. 한약 불면 치료의 장점은 항정신성 의약품을 상요하지 않고 환자 심신의 안정을 꾀하여 숙면을 유도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외래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처방으로 보혈안신탕과 천궁계지탕이라는 처방이 있는데 보혈안신탕은 산조인, 연자육 등이 주약으로 마음을 안정시키고, 천궁계지탕은 천궁과 계지가 주약이 되어서 어깨와 뒷 목의 근육의 긴장 풀어서 몸을 이완시킨다. 이 두 약을 밤에 함께 복용하면 몸과 마음의 긴장이 풀어지면서 숙면을 유도하게 된다.

어지럼증과 소화장애를 호소하는 경우는 아랫배 혹은 윗배의 긴장을 풀어주어 위장기능을 회복하는 치료가 이명 치료의 가장 중요한 치료가 될 수 도 있다. 체성이명의 경우는 부항, 전기침, TENS, 추나요법 등의 물리치료와 함께 각자의 상태에 맞는 운동법을 알려주고 시행하도록 한다.

이렇게 환자들은 각자의 상태에 따라 다른 약물치료를 받으면서 뒤 목과 어깨를 중심으로 침치료 및 부항치료를 받거나, 복부 침치료, 귀 주위의 침치료와 뜸치료 등을 동시에 혹은 단독으로 치료 받게 된다.

이명 환자가 기억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은 ‘이명에 사로잡히지 말자’다. 이명에 사로잡혀서 집착하다 오히려 이로 인해 건강을 망치는 경우의 환자를 종종 보게 된다. 이명을 그냥 하나의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상생활에서의 관리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