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조금 공백에 '강제 비수기'…판매량 줄어 공장 멈추기도

by이다원 기자
2024.02.19 05:30:10

현대차, 연초 포터2 EV 생산 일시 중단
KGM도 전기차 생산량 조절 돌입
판매량 급감에 수익성 위해 생산 조절
"전기차 보조금 공백, 발표 앞당겨야"

[이데일리 이다원 공지유 기자] 해마다 반복되는 연초 ‘전기차 보조금 공백’에 전기차 공장 가동을 멈춰 세우거나 등 떠밀려 생산량을 낮추는 업체가 늘고 있다. 정부는 전기차 보조금 규모와 범위 등의 개편안을 매년 새로 발표하는데, 확정 전까지는 보조금이 지급되지 않아 전기차 판매량이 급감한 데 따른 것이다. 업체로서는 전기차를 마냥 생산해 재고로 쌓아두기에도 부담이 큰 만큼 반강제적으로 ‘개점휴업’에 들어가는 셈이다.

현대차 포터2 일렉트릭. (사진=현대차)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가 울산4공장 42라인에서 제조하는 포터2 일렉트릭은 올해 1월 생산을 일시 중단했다가 이달 초 재가동을 시작했다. 포터2 일렉트릭은 지난해 한해에만 2만5799대가 팔렸다. 국내에서 승용·상용차를 통틀어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할 정도로 수요가 많은 차량이다. 이러한 차량 생산라인이 멈추는 것은 정부의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확정되지 않은 영향이 크다. 현대차 관계자는 “통상 11월이 되면 중앙의 국비 보조금은 남아 있지만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은 소진되면서 그때부터 보조금 공백이 시작된다”며 “지역별로 보조금이 남은 곳은 알음알음 판매가 되는 편인데 1월에는 거의 전무하다”고 했다.

KGM 토레스 EVX. (사진=KGM)
KG모빌리티(KGM)도 지난해 말부터 평택공장에서 토레스EV 전기차 생산량 조절에 돌입했다. 하루에 생산하는 전기차 물량을 평소와 비교해 크게 줄인 것이다. 전기차 보조금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월 중순에 발표되고 소비자들은 사실상 3월부터 혜택을 받다 보니 그전까지는 구매 수요가 없는 ‘혹한기’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문제는 이렇게 생산 라인을 멈출 경우 고정비 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전기차 생산량과 판매량이 어긋나 수익성을 확보하기도 어려워 완성차 제조사들은 진퇴양난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연말도 보조금 소진으로 판매가 부진하지만 연초가 체감상 더 바닥”이라며 “1월은 정말 판매량이 0에 수렴할 정도로 어렵다”고 말했다.

2023년 12월 및 2024년 1월 국내 전기차 판매대수 추이.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실제 올해 1월 현대차·기아의 전기차 국내 판매 대수는 749대로 지난해 12월(6440대) 대비 88.4% 감소했다. 최고 인기 전기차인 포터2 일렉트릭은 단 4대 판매됐고, 승용차 대표 모델인 현대차 아이오닉5는 39대 팔렸다. 기아 역시 EV9는 449대 팔아 선방했으나, EV6는 29대 판매하는데 그쳤다. KGM도 중형 전기 SUV인 토레스 EVX 판매량이 27대에 머물렀다.



수입 전기차 판매량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한국수입차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전기차 판매대수는 821대로 전월(4337대·테슬라 포함) 대비 81.1% 감소했다. 지난해 수입 전기차 중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한 테슬라는 올해 1월 판매대수가 1대에 불과했다. 전기차 브랜드인 폴스타는 단 한 대도 팔지 못했다. 한 대당 가격이 1억원을 웃도는 람보르기니(7대), 롤스로이스(9대) 등보다 판매 대수가 적었다.

완성차 업계와 소비자들은 적어도 3월은 돼야 전기차 실구매가 늘어날 것으로 본다. 전기차 보조금은 중앙정부가 국고 보조금 기준과 금액을 확정한 뒤 지자체가 사업 공고를 내 보조금 접수를 받는 식이다. 따라서 국고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 혜택을 모두 받으려면 2월 말~3월 초까지 기다려야 한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국회가 12월은 돼야 내년도 정부예산안을 확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기차 보조금 사업을 정한다”며 “또한 부처 협의와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하는 등 복잡한 절차도 거쳐야 한다”고 짚었다.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고 있는 김모(42·경기 남양주)씨는 “전기차 가격이 기본적으로 높다 보니 보조금을 받은 금액을 진짜 가격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며 “보조금 없이 전기차를 제값 주고 사느니 기다리는 게 당연히 낫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지자체의 행정처리 속도가 늦어지는 구조를 지적하며 이를 보완할 대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보조금 공백은 제도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이라며 “소비 패턴의 연속성과 환경 정책적 차원에서 제동이 걸리는 점을 고려해 제도적인 대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