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30~40대의 커리어 관리법, ‘스트라이커’가 되는 비결
by류성 기자
2020.10.17 05:05:53
[발가벗은 힘: 이재형의 직장인을 위한 Plan B 전략]
(48) 30~40대의 커리어 관리법, ‘스트라이커’가 되는 비결
구두 수선 가게에서는 크게 두 가지 역할이 중요하다고 한다. 고객의 구두를 수거해 오는 일을 하는 일명 ‘찍새’ 역할과 구두를 닦는 ‘딱새’ 역할이다. 그렇다면 이 두 가지 역할 중 어느 쪽이 일을 더 잘해야 돈을 잘 벌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처음에는 구두를 수거해 오는 찍새의 마케팅?영업 능력이 중요하다. 하지만 딱새가 고객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말짱 ‘꽝’이다. 결국 딱새의 실력이 받쳐주지 않으면 찍새의 마케팅?영업 능력은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그리고 딱새의 실력이 입증되고 나면 그때부터는 마케팅·영업을 하지 않아도 손님이 제 발로 찾아오게 마련이다.
이는 구두 닦는 일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모든 일에 있어서 딱새의 실력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더는 행운을 기대할 수 없게 되고, 불안한 시간들을 보내게 된다.
결국 중요한 것은 핵심역량이다. 외진 곳에 위치한 식당이더라도 탁월한 맛으로 고객을 만족시키게 되면 나중에는 손님들이 알아서 찾아오는 맛집이 되게 마련이다. 기업이든 개인이든 핵심역량을 강화해야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말이다.
구직 시장에서도 마찬가지다. 헤드헌터의 말에 따르면 일관되지 않은 경력, 즉 한 분야에서 핵심역량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사람, 그러면서 이직을 자주 한 사람은 구직자로서 매력이 떨어진다고 한다. 그렇다면 핵심역량을 어떻게 강화할 수 있을까?
나는 후배들에게 어느 정도 적성이 맞는 분야를 택했다면 가급적 한 분야에 오래 머무르라고 말하곤 한다. 융합의 시대에는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것도 필요하지만 ‘발가벗은 힘’ 내지 핵심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는 한 분야를 제대로 파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소위 어중이떠중이가 될 수도 있다. 젊어서는 가능하다면 많은 분야에 도전해보는 것이 좋다. 하지만 30대 후반, 40대가 되면 달라져야 한다. 세상을 폭넓게 공부하면서도 ‘한 놈’은 제대로 패야 하는 것이다.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선호하는 ‘T자형 인재’처럼 경영 일선에서는 폭넓은 교양을 가진 ‘ㅡ자형 인재(generalist)’이면서 동시에 특정 분야에 정통한 ‘I자형 인재(specialist)’가 돼야 하는 것이다.
나는 대기업 전략기획실에서 경영, 전략, 조직 변화, 인사조직과 관련된 업무를 10년 넘게 했다. 회사생활을 하면서 조직개편이 잦긴 했지만, 한 번도 경영 업무에서 벗어난 적이 없다. 이렇게 쌓은 경력은 해당 분야에서 나의 경쟁력을 높여주었다. 글을 쓸 때나 강의와 코칭을 하고 있는 지금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퇴사 후 야생으로 나온 지도 어느새 2년이 넘었다. 그사이 강의·코칭 업계에서 일하는 많은 사람들을 직·간접적으로 만날 기회가 있었다. 그런데 2년이 지나고 나니, 누가 공을 제대로 차는 선수인지, 그중에서도 누가 득점 능력, 골 결정력이 뛰어난 ‘스트라이커’인지, 그리고 누가 ‘똥볼’을 차고 있는지 대략 파악이 되는 것 같다.
‘똥볼’을 차는 사람들의 특징은 무엇일까? 무엇보다 정체성, 즉 아이덴티티(identity)가 불명확하다는 것이다.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하고, 모든 것을 다 한다. 그런데 정작 전문분야가 무엇인지는 알기가 어렵다. 코칭을 하더라도 자신의 전문분야 소개란에 ‘비즈니스 코칭, 청소년 코칭, 라이프 코칭, 커리어 코칭’이라고 써 놓는다. 그리고 빈 수레가 그렇듯 몹시 요란하다. 겉으로는 이것저것 많은 것을 하는 것처럼 허세를 부리지만, 실제로는 빈 깡통과 같다.
그렇다면 ‘스트라이커’의 특징은 무엇일까?
아이덴티티가 명확하고, 선택과 집중을 잘한다는 것이다. 적으면 한두 가지, 많아야 서너 가지 분야에 집중한다. 선택과 집중을 잘하면 뭐가 좋을까? 전문분야에 집중하기 때문에 시간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마케팅 비용은 적게 들이면서 이익은 더 커지는 효과가 있다.
SNS에 자신을 홍보하는 것만 봐도 누가 ‘똥볼’ 차는 사람인지, 누가 ‘스트라이커’인지 알 수 있다. ‘똥볼’ 차는 사람은 이 분야, 저 분야 모두 다 할 수 있다고 홍보한다. ‘스트라이커’는 자신의 전문분야가 무엇인지 명확히 인지되도록 홍보한다.
내가 공을 제대로 차고 있는지, 스트라이커인지는 다른 사람들이 평가하겠지만, 나의 경우 ‘비즈니스 코치(Business Coach)’라는 정체성을 일관되게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주로 기업에서 강의와 코칭을 하며, ‘전략’ 분야와 경영자 대상의 ‘CEO·임원 코칭’, 그리고 관리자 대상의 ‘그룹코칭’을 하고 있다. 물론 다른 분야도 아우르고 있지만, 이 세 가지 분야에서 가장 많은 매출이 발생되며, 그 매출 기여도는 점점 높아져가고 있다.
식당 중에서도 메뉴가 많은 식당 치고 잘되는 경우를 거의 보지 못했다. 잘되는 식당은 정말 맛있는 메뉴 한두 가지에 집중한다. 거기서 회전율을 높여 매출과 이익을 최대화한다. 정말 맛있는 음식 한두 가지로 고객가치를 충족시키는 차별화 전략을 구사한다. 메뉴가 적다는 것은 동일한 원재료의 대량구매로 비용절감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용우위 전략을 구사할 수 있는 것이다.
부산에 출장을 간 적이 있다. 식사를 하기 위해 한 식당을 방문했는데, 메뉴가 너무 많아서(된장찌개, 김치찌개부터 생선구이는 물론 삼겹살, 소갈비, 육회에 오리불고기까지) 무엇을 주문해야 할지 망설여졌다. 도대체 어떤 음식을 잘하는지 감을 잡을 수 없었다. 고민 끝에 식당 주인에게 메뉴를 추천해달라고 했더니 굴국밥을 추천하길래 주문해 먹었는데 맛이 그저 그래서 남겼다. 식사를 마치고 주인에게 메뉴가 많은 이유를 물었더니 가끔씩이라도 손님들이 찾는 메뉴를 포함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식당은 ‘핵심에 집중하라’는 경영의 원칙과 ‘선택과 집중’이라는 전략의 정의에 완전 위배되는 경영을 하고 있지만 탁월한 포지셔닝으로 근근이 버티며 그럭저럭 먹고살고 있다. 만일 이 식당이 메뉴에서도 역량(케이퍼빌리티)을 갖춘다면 매출이 상당히 증가할 것으로 확신한다. 안타까움이 컸던 나는 다음과 같이 물었다.
“사장님, 가장 자신 있는 메뉴가 뭐예요?”
그러자 주인이 대답했다.
“김치찌개와 생삼겹살이요.”
이 답변을 듣고 나는 두 메뉴에 집중해보시면 어떻겠냐고 조언하고 나왔다. 식당뿐 아니라 실패하는 기업과 개인의 특징 역시 핵심역량과 동떨어진 사업들을 문어발식으로 확장한다는 데 있다.
전략의 대가인 하버드대 마이클 포터 교수는 “전략의 요체는 무엇을 하지 않을 것인가를 정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30대 후반, 40대가 되면 자신의 커리어를 관리하기 시작해야 한다. ‘커리어를 관리한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자신 있는 분야로 좁혀서 ‘주특기’를 만들라는 것이다. 그래야 100세 시대에 롱런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진다. 만일 당신이 30, 40대라면 직장에서 자신의 전공이 무엇인지 떠올려보라. 전략, 기획, 마케팅, 영업, 기술… 이런 분야들 중 자신 있는 분야가 없다면 전문성이 있다고 말하기 어렵고, 스트라이커가 되는 건 더더욱 어렵다. 여기서 말하는 전문성이란, 시장(market)이 알아주는 전문 역량을 말한다.
영화배우 이소룡은 생전에 “나는 만 가지 킥을 연습한 사람은 두렵지 않지만, 한 가지 킥을 만 번 연습한 사람은 두렵다”라고 말했다. 먼저 한 가지 역량이라도 제대로 갖추도록 하자. 그리고 지속적으로 그 역량을 강화해나가면 스트라이커로서 성공도 부도 자연스럽게 따라오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