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멱칼럼]화폐 개념은 언제든 바뀔 수 있다

by권소현 기자
2019.07.23 05:00:00

[이종우 이코노미스트] 가상화폐 시장이 요동 쳤다. 연초 400만원대였던 비트코인 하나의 가격이 한때 1700만원까지 올라갈 정도였다. 이번에는 페이스북이 계획하고 있는 가상화폐 ‘리브라’가 원인이었다. 달러, 유로, 엔을 적절히 결합해 가치변동이 없는 코인 형태로 발행할 예정인데, 페이스북 안에서 물건을 사고파는데 사용한다는 게 기본 계획이다. 쉽게 생각하면 상품권 같은 형태다.

상품권을 사용할 경우 백화점 내에 있는 어떤 물건도 살 수 있는 것처럼 페이스북 안에서는 리브라를 사용하자는 것이다.

이런 구상은 기존의 가상화폐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비트코인이 중심이 된 첫 번째 가상화폐는 ‘저걸 도대체 어디에 사용할 수 있을까?’하는 의문에 대해 답을 내놓지 못했다. 실시간으로 비용 없이 해외 송금을 할 수 있다고 얘기했지만 그게 그다지 큰 부분은 아니었다. 기술의 발전 속도를 감안할 때 현재 은행 시스템 안에서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했다. 미국의 일부 커피점에서 비트코인을 사용할 수 있다는 기사가 나왔지만 지금 존재하는 돈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에 왜 굳이 가상화폐가 들어가야 하는지 의문이었다. 현재 가상화폐를 사용하는 곳이 거의 없다 보니 앞으로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 상상하기 힘들어서 나온 현상이다. 페이스북의 참여로 이 문제가 조금은 풀렸다. 페이스북 가입자가 23억명에 달해 이들 사이의 거래만으로도 상당 규모의 시장이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가상화폐 개념을 전파하는데 주력했던 1단계를 지나 실제 적용이 중요시되는 2단계로 발전했다.

이전에 비해 가상화폐의 현실성이 높아졌지만 넘어야 할 산이 여전히 많다. 가장 큰 문제는 중앙은행이 가상화폐를 허용해 줄지 여부다. 금융위기가 발생했을 때 달러가 기축통화가 아니었다면 미국 경제는 큰 난리를 겪었을 것이다. 지금보다 회복 시기가 훨씬 늦어졌거나 최악의 경우 연속되는 위기로 미국이 다른 나라나 국제기구의 힘을 빌려야 했을 수도 있다. 금융정책은 중앙은행이 통화를 조절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하에 성립한다. 민간이 화폐를 마음대로 만들어 낸다면 정부와 중앙은행의 역할이 약해지기 때문에 중앙은행이 가상화폐에 찬성할 이유가 없다. 따라서 당장에는 가상화폐가 활성화되는 것을 막으려 할 것이고 그게 여의치 않으면 중앙은행이 직접 가상화폐 제조에 나설 것이다. 화폐를 다수의 손에 맡겨 놓는 불확실성보다 직접 나서 통제하는 게 낫기 때문이다. 페이스북에 가상화폐를 허용해 줄 경우 이는 페이스북만으로 끝나지 않는다. 아마존을 비롯해 가상화폐가 더 필요한 곳이 또 다른 화폐를 만들어낼 텐데 그만큼 중앙은행의 통제력은 약화한다.



1715년에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는 17개 물품이 법정화폐로 사용되고 있었다. 동물의 모피나 연초, 쌀, 보리 심지어는 조개껍데기까지 그 안에 들어 있었다. 실물화폐에 불편을 느낀 미국인들은 정부가 지폐를 발행해 통일된 표준 법정화폐로 삼는다는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이 지폐는 유럽에서 유통되는 은행권과 달리 실물을 담보로 잡지 않고 정부의 신용에만 의존하는 정부 신용화폐였다. 새로운 화폐 때문에 식민지 미국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하자 화가 난 영국이 즉각 행동에 나서 1764년 통화조례(Currency Act)를 통과시켰다. 미국이 자신들의 화폐를 발행하는 행위를 엄격히 금지한 건데 이에 대한 반발이 독립운동의 경제적 원인이 됐다. 화폐라는 개념은 항상 고정돼 있는 게 아니었다.

세상에 새로운 물건이 나올 때 사람들은 비슷한 반응을 보인다. 처음에는 무심했다가 어떤 시점이 되면 열광해 가격을 천정부지로 끌어올린다. 버블이 생기고 터지는 과정을 거치면서 그 물건이 세상에서 없어질 것처럼 하락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부분만 남고 나머지는 모두 사라지는 데 지금 가상화폐도 그 길을 따라가고 있다.

세상이 변하면 항상 새로운 것이 나온다. 화폐도 예외가 아니다. 두 번째 단계로 들어선 가상화폐가 물건을 사고파는 수단으로 확실히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