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상윤 기자
2013.07.01 07:00:02
(①-③) 구글 플랫폼이 인기를 끌지만, 대세는 없어
여러 플랫폼을 합쳐쓰는 '하이브리드' 방식도 나와
앱 양산보다는 TV시청이라는 본연의 기능 강화가 필요
[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방송이 ‘올 IP’화되면서 케이블, IPTV, 위성 등 방송플랫폼 사업자들은 ‘똑똑한 TV’인 스마트TV로 빠르게 넘어가고 있다. 다양한 플랫폼이 나오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강자가 없는 상황에서 스마트TV 플랫폼 경쟁은 춘추전국 시대를 맞고 있다.
LG유플러스(032640)는 지난해 10월 ‘구글TV 2.0’ 운영체제(OS)를 탑재한 스마트 IPTV ‘tvG’를 출시한 후 약 30만 명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케이블방송사 씨앤앰은 지난해 5월 국내 최초로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셋톱박스를 내놨고, IPTV 사업자인 KT도 지난 1월 안드로이드 4.0기반 스마트TV 서비스를 출시했다. 셋톱박스만 설치하면 스마트TV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쟁에 TV제조사도 뛰어들어 LG전자(066570)는 조만간 구글TV 플랫폼을 장착한 스마트TV를 내놓는다.
향후 시청자들이 경험하게 될 스마트TV의 모습은 어느 사업자가 하든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주도권을 쥐기 위해 케이블, IPTV, 제조사 등 분야를 막론하고 이전투구를 벌이고 있는 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