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입학식 지나니 ‘진짜 겨울’…꽃시장에도 ‘고물가’ 그늘

by권효중 기자
2023.02.23 06:00:00

‘금값’된 ‘꽃값’…양재꽃시장 거래량 ‘뚝’
“코로나19 이전 회복 안돼…알바생도 못 써”
난방비 올라 꽃 생산 줄고 가격↑
소비자는 ‘외면’…“장미 한송이에 5천원? 너무 비싸”

[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코로나19 이전하고 비교하면 주문량이 절반 줄었는데, 이게 회복이 안돼요. 올해는 한파에 난방비까지 올라 꽃 자체도 귀한데…”

서울 양재 꽃시장에서 14년째 꽃을 팔아온 상인 오모씨는 졸업과 입학 등이 겹쳐 꽃 수요가 많은 2월에도 표정이 밝지 않았다. 코로나19 이후 꽃 수요의 회복이 더딘 데다가 올해는 난방비 폭등 등 하우스 시설 유지비 부담마저 커져 출하되는 꽃 자체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꽃값이 비싸지자 시민들은 선뜻 꽃 사기가 주저된다고들 했다.

20일 서울 서초구 양재꽃시장의 모습. (사진=김영은 수습기자)
이데일리가 지난 20~21일 둘러본 서울 서초구 양재꽃시장은 전국 최대 규모의 화훼 도매시장이다. 난과 나무, 분화(화분 꽃)는 물론 절화(절단돼 줄기로 팔리는 꽃)까지 모든 꽃과 나무를 취급한다. 꽃을 손질하고 물병에 물을 채우느라 분주한 와중에도 상인들은 코로나19 종식 후에도 매출이 회복되지 않고 있다고 한탄했다.

오씨는 “코로나19 이전 꽃 예약이 한 달에 100건이라고 치면, 올해는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 같다”며 “동네 꽃집보다는 쌀 거라는 생각에 방문하는 손님들도 꽃 가격을 보면 돌아선다”고 했다. 그러면서 “비싸봐야 한송이에 3000원이었던 장미가 지금은 5000원이 넘으니, ‘사치재’라고 여길 만도 하다”고 한숨 쉬었다.



다른 상인들도 매출이 좀처럼 회복되지 않아 아르바이트생 등 고용이 어렵다고 토로했다. 고모(52)씨는 “요즘은 꽃값이 ‘금값’이 다 됐다, 전기료에 난방비가 오르면서 하우스 비용이 많이 나가잖나”라며 “그런데도 매출이 늘지 않아서 작년에도 썼던 아르바이트생을 올해는 쓰지 못한다”고 했다.

실제로 최근 양재꽃시장의 거래량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한참 못 미친다. 화훼유통정보에 따르면 올해 2월 현재까지 거래된 절화는 총 112만단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01만보다는 소폭 늘었지만 코로나19 이전이었던 176만단(2018년), 171만단(2019년)에 비하면 60%수준에 그친다. 조건동(59)씨는 “기온에 따라 농장에서 생산되는 꽃 물량이 달라지는데, 올초 날이 춥고 연료비는 오르지 않았나”라며 “연료비가 비싸니까 농민들도 꽃이 얼어 죽지 않게끔만 온도를 유지해 꽃 생산량 자체가 줄었다”고 말했다. 이어 “꽃값은 비싸졌는데 경기가 안 좋으니 손님들이 지갑을 닫으면서 거래가 늘질 않는 것”이라고 했다.

날이 풀리곤 있다지만 전망은 밝지 않다. 경기도 광명에서 꽃 도매업을 30년째 하고 있는 염모씨는 “꽃은 오이나 딸기 등 다른 하우스 작물보다 재배가 어렵고 단가가 높을 수밖에 없는데 이미 도매 낙찰 단가가 작년 이맘때보다 두배는 올랐다”며 “봄이 온다고 출하량이 대폭 늘어날 것 같지도 않으니 값은 쉽게 안 떨어지고 손님도 늘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지하상가 등 유동인구가 많은 꽃집들도 썰렁한 분위기다. 강남구 한 지하철역 상가 꽃집은 장미 한송이에 4500원, 프리지아 한단에 7900원을 매겨 팔았고, 꽃다발은 3만~5만원대였다. 대학생 조모(22)씨는 “한단만 사기엔 꽃이 너무 적고, 많이 사려니 너무 비싸다”며 발길을 돌렸다. 이모(29)씨는 “생화 사느니 비누꽃 사는게 훨씬 싸고 나을 것 같다”며 “이 가격에 꽃을 어떻게 사느냐”고 고개를 내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