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장종원 기자
2013.07.10 07:00:00
사회 통합 저해..저출산·빈곤 악순환
"가격 모니터링, 산후도우미 지원 확대" 등 필요
[이데일리 장종원 기자] 전문가들은 우리 사회에서 고비용 출산·육아 문화가 확산된 배경을 ‘내 아이를 최고로 키우겠다’는 부모의 욕망만으로 설명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지적한다.
맞벌이 부부 증가와 경제 성장에 따른 가계 경제력 상승, 이에 편승한 출산 육아 관련 업체들의 고급화 경쟁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엄마들이 아파트나 어린이집, 친구 등 특정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교류하는 과정에서 경쟁이 심화됐다는 분석도 있다.
허경옥 성신여대 가족문화소비자학과 교수는 “맞벌이 부부가 크게 늘고 과거에 비해 경제 수준이 높아지면서 고가 유모차나 호화 산후조리원 등 관련업계도 덩달아 호황을 누리고 있다”며 “ 출산과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업체의 고가 프리미엄 마케팅이 높아진 소득 수준과 맞물린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삼식 보건사회연구원 본부장은 “산후조리원은 전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있는 문화”라며 “집단 생활로 인해 엄마와 아이 모두 건강에 취약한 측면이 있지만 핵가족화로 산후조리를 도와줄 가족이 없는 경우가 많아 어쩔 수 없는 선택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고비용 출산·육아문화를 이제라도 바꿔나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2주에 1000만원이 넘는 산후조리원에서 몸조리를 하고, 수백만원대 유모차에 아이를 태우고 고가의 아동복 쇼핑을 즐기는 엄마들을 바라보며 상대적 박탈감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늘어날 경우,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갈등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
아울러 과도한 출산·육아비용 지출이 결국 사회적 비용으로 부메랑이 돼 되돌아올 수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많다. 이 본부장은 “국가가 산후조리를 집에서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현재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산후도우미 사업을, 산모에게 일정비용을 부담시키더라도 확대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최윤경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정부와 언론이 앞장서 다른 출산·육아의 대안적인 모델들을 널리 알려 문화를 바꾸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보육정보센터 등에서 시행하고 있는 장난감 대여 사업과 육아카페 사업 등이 좋은 예”라고 말했다.
유미숙 숙명여대 아동복지학과 교수는 고가의 육아서비스 비용을 낮추기보다는, 저가 서비스의 질을 높여 낮은 비용으로도 부모가 만족할 수 있는 육아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를 통해 저소득층 가정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 교수는 “핀란드나 노르웨이는 임신 사실이 확인되면 정부가 출산 2~3개월 전에 목욕통에서부터 아이 베냇저고리, 우윳병 등 양질의 출산·육아용품을 무료로 제공한다”며 “정부가 지원하는 공공산후조리원을 개설하는 등 정책적인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움말 주신 분>
유미숙 숙명여대 아동복지학과 교수
허경옥 성신여대 가족문화소비자학과 교수
이삼식 보건사회연구원 본부장
최윤경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