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70년]새해 화두는 ‘ICT중심 창조경제’

by피용익 기자
2015.01.01 03:05:01

혁신센터 조성 본격화

[세종=이데일리 피용익 기자] 저성장 기조를 벗어나기 위해선 제조업을 비롯한 전통적인 산업의 활성화도 필수적이지만, 신성장동력을 발굴하지 못한다면 또 다시 한계에 직면할 수 있다. 박근혜 정부가 창조경제를 통한 경제 패러다임의 대전환을 꾀하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창조경제는 정보통신기술(ICT)을 중심으로 한 첨단과학기술을 산업 전반에 접목시켜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가 경제를 발전시킨다는 전략이다.

창조경제의 가능성은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호주 브리즈번에서 열린 제9차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전 세계 저성장·고실업 문제의 해결책으로 ‘창조경제’를 제시했다. G20는 이 제안을 받아들여 회원국 간 창조경제 경험공유(Peer-Learning)에 합의했다.

G20 정상회의를 전후로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세계 주요 경제지들은 한국의 창조경제 정책을 집중 조명하기도 했다.



그동안 모호하다는 지적을 받아온 창조경제는 지난해부터 구체화하기 시작했다. 정부는 대기업과 각 지역을 1대 1로 매칭해 해당 지역의 창업 생태계 조성을 도맡는 창조경제혁신센터 조성을 시작했다. 지난해 9월 대구센터(삼성)를 시작으로 10월 대전센터(SK), 11월 전북센터(효성), 12월 경북센터(삼성)·포항센터(포스코) 등이 설립됐다.

박근혜 정부가 집권 3년차를 맞는 새해에는 창조경제 정책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전국 17개곳에 들어서고, 아이디어의 사업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이 추진될 예정이다.

다만 창조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선 국민적 공감대 확산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창조경제가 지속가능한 신성장동력이 되기 위해선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전환해야 한다는 얘기다.

오세홍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선임연구위원은 “끊임없는 신시장, 신산업 창출 및 일자리 창출에 국민적 이해와 협력을 구할 필요가 있고 장기적으로 추구해야할 기본 방향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며 “정부의 조정능력, 전문가들의 객관적 시야와 분석 그리고 이를 신뢰하는 다수의 민간파트너들과 창조계층이 함께 미래의 부를 창출하는 생각을 가진다면 창조경제 실현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