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방한금지 1년] ①'中 뒤끝', 유커는 끝내 돌아오지 않았다

by강경록 기자
2018.03.19 00:00:01

지난해 유커 417만...1년 50%↓
경제적 손실도 5조원 넘어설 듯
"평창올림픽 中대거 관람''도 말뿐
유커 빈자리, 동남아 관광객이 채워
최근 화해 분위기...여행업계 "섣부른 판단 말아야"

관광수지 적자 추이(그래픽=이동훈 기자)


[이데일리 강경록 기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 조치로 시작한 중국의 한국 단체관광 금지가 1년이 지났다. 이 기간 방한 중국 관광객 숫자는 반 토막 났다. 또 중국 관련 업계는 큰 타격을 받았다. 지난해 10월에는 한·중 정부가 관계 개선 조처를 하면서 보복 조치가 금방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생색내기용 조처로 일부 지역만 한국 단체관광을 허용했을 뿐이다. 관광업계의 한 관계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2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만날 당시 예민한 문제를 적절히 처리하자고 말한 데 주목하고 있다”라면서 “정부가 중국에 적극적 해결 방안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중국의 단체관광 금지 등으로 한국이 입은 경제적 손실도 크다. 일본이 센카쿠 문제로 중국의 경제 보복을 당했을 당시 이상의 손실이 낫다는 게 중론이다. 이데일리가 지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관광공사 자료를 입수 분석한 결과 지난해 방한 중국인 관광객은 416만9353명으로 2016년의 806만7722명보다 48.3% 줄었다. 외래 관광객 전체로는 22.7% 줄어든 1333만5758명에 그쳤다. 손 큰 중국 관광객의 급감으로 국내 관광 산업은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관광수지 적자는 역대 최대 수준인 137억4920만 달러(약 14조6300억 원)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보다 전년보다 111.9% 늘어난 금액이다. 앞서 한국은행은 중국인 관광객이 전년보다 400만가량 줄어들면 약 5조 원의 손실이 생기는 것으로 추산했다.



정부는 발 빠르게 중국 관광객의 빈자리를 동남아 관광객으로 메웠다. 관광 시장 다변화로 중국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전략이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한국관광공사가 공개한 한국관광통계에 따르면 타이완·태국·홍콩·말레이시아·필리핀·베트남·싱가포르·인도네시아·미얀마 등 동남아 9개국은 지난해 368만154명이 방한했다. 이는 2015년 261만5802명보다 40.7%가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중국 관광객 416만 9353명에 육박한 수치다.

그동안 한·중 양국이 화해 분위기였던 적도 있었다. 지난해 10월 한·중 정상회담이 계기였다. 중국 정부는 제한적이지만 베이징과 산둥 지역만 방한 단체관광을 허용했을 뿐이다. 당시 국내 여행업계는 중국 관광객의 ‘컴백’을 믿었다. 리커창 중국 총리도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많은 중국인이 경기를 관람하고, 관광도 할 것”이라고 해 기대감에 부풀었다. 하지만 지난 1월 중국인 관광객의 한국에 입국한 수는 지난해 1월보다 8.3%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인천과 중국을 연결하는 10개 항로 카페리의 여객 수는 총 4만4049명. 작년 1월 5만4683명보다 20% 줄었다. 여기에 ‘2018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올림픽을 관람한 중국 관광객은 2만 명에 불과한 것으로 관광업계는 예상했다. 이들 중 대부분은 평창이 아닌 인천에 머무르다 돌아간 것으로 전해졌다. 리커창 총리의 약속은 말뿐이었다.

양국 관계가 또다시 해빙 분위기다. 남북 정상회담 개최 합의로 북한 리스크가 줄어들면서다. 중국 내에서도 한국행 단체관광 여행상품을 슬며시 올리고, 내리기를 반복하면서 중국 당국의 분위기를 살피고 있지만, 국내 업계에서는 아직 섣부르다는 것이 중론이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대형 여행사는 대부분 국영기업이라 중국 당국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라면서 “표면적으로는 해빙 분위기라 하지만 중국 당국은 한국행 단체관광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고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