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혜미 기자
2014.09.30 05:52:38
美개인소비 등 경제지표 개선에도 불구, 하락
홍콩 시위에 중국 경제성장 둔화 우려 불거져
[뉴욕= 이데일리 김혜미 특파원] 뉴욕 증시가 29일(현지시간) 하락 마감했다. 미국의 8월 개인소비가 예상에 부합한 결과를 나타냈음에도 불구, 홍콩의 민주화 시위 여파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계속됐다.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25% 내린 1만7071.22를 기록했다.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25% 하락한 1977.80, 지수는 0.14% 하락한 4505.85를 나타냈다.
서방국과 러시아간 긴장과 유럽의 경제성장 둔화 우려는 여전히 증시에 부담이 되고 있다. 이날 지수는 오후 들어 낙폭을 줄이기는 했지만 완전히 회복되지는 못했다.
미 상무부는 지난 8월 개인 소비 지출이 전월대비 0.5% 증가(계절조정)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7월 개인소비지출은 당초 발표된 0.1% 감소로 확정됐다. 같은 기간 개인소득은 0.3% 증가하며 7월의 0.2% 증가보다 소폭 늘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문가 예상치인 개인소비지출 0.5% 증가, 개인소득 0.3% 증가에 부합하는 것이다.
항목별로는 자동차 등 고관세 품목에 대한 지출이 늘어난 반면 휘발유 같은 비내구재 지출 비중이 줄었다. 내구재 지출은 1.8% 증가했으며 서비스 지출은 0.5% 늘었다. 비내구재 지출은 0.3% 감소했다. 8월 개인 저축률은 5.4%로 전월의 5.6%보다 하락했다.
이날 발표에서는 미국 내 인플레이션이 부진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기준이 되는 물가지수인 개인소비지출(PCE) 지수는 전년동기 대비 1.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전월 상승률인 1.6%보다 소폭 둔화됐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지수는 전월대비 0.1% 상승했다.
미국부동산중개인협회(NAR)는 8월 잠정주택 판매 지수가 전월대비 1.0% 하락한 104.7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7월 105.8을 기록하며 11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이내 주춤한 것이다. 전년동기 대비로는 2.2%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북동부 지역이 3% 감소했으며 중서부가 2.1%, 남부가 1.4% 줄었다. 서부는 2.6% 증가했다.
이같은 결과는 곧 기존주택 판매 역시 감소할 가능성을 나타낸다. NAR은 올해 기존주택판매 건수가 494만건을 기록, 지난해 509만채를 밑돌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잠정주택판매는 주택 매매계약에 서명은 했지만 거래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통상 1~2개월 안에 거래를 마무리짓는다. 지수는 지난 2001년 수치를 100을 기준으로 두고 있다.
홍콩 행정장관 선출 방식과 관련해 촉발된 민주화시위와 관련, 중국 정부가 강경대응에 나서면서 투자자들의 우려는 커지고 있다. 홍콩이 주요 금융허브인 만큼 중국 본토까지도 영향을 줄 것이란 분석이다. 홍콩 시내 은행과 기업들이 문을 닫은 것은 물론 경찰과의 충돌 소식이 들려오는 등 시위는 격화되는 듯한 모습이다.
패트릭 코바넥 실버크레스트 애셋 매니지먼트 선임 스트래티지스트는 “사람들이 그리 많은 관심을 두지 않는 부분이 있다”며 “홍콩은 중국에서 가장 국제화된 도시이고, 자본 흐름이나 사업 기반 등으로 볼 때도 가장 세계화된 도시다. 따라서 홍콩에서 일어나는 일은 홍콩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중국과 해당지역 모두에 긴 그림자를 드리우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 국채 가격은 하락했다.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전거래일 대비 1bp 상승한 2.49%를 기록했다. 주요 통화 대비 미 달러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소폭 상승했다. 금 12월물 선물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온스당 3.40달러 오른 1218.80달러,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1월물 가격은 배럴당 1.03달러 상승한 94.57달러를 나타냈다.
종목별로는 드림웍스가 일본 소프트방크의 인수 가능성으로 26% 급등했다. 애슬론 에너지는 25% 급등했고, 앰비트 바이오사이언스는 다이이치 산쿄의 인수 소식에 87% 뛰어올랐다. 반면 알리바바는 2% 하락했고, 제이너스 캐피털 그룹은 7.5% 밀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