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금 최대 1000억"…불붙은 데이터센터 유치전, 왜?

by김가은 기자
2024.01.29 05:04:17

■[이제는 무탄소경제(CFE)]데이터센터④
정부, 데이터센터 분산 지원 정책 발표
지방 정부, 데이터센터 유치 '사활'
지역 경제 활성화·세수 확보 등 이점 기대
"관건은 상면 임대 수요, 결과 지켜봐야"

[이데일리 김가은 기자] 정부가 수도권에 집중된 데이터센터를 분산시키기 위한 정책을 쏘아 올린 뒤 지방자치단체들도 발걸음이 바쁘다.

지역 내 친환경 데이터센터를 유치해 지역 내 일자리 창출 등 경제 활성화 효과는 물론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를 확충하겠다는 목표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NHN클라우드 국가AI데이터센터 전경(사진=NHN클라우드)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는 ‘비수도권 친환경 데이터센터 분산 지원 정책’을 발표했다. 전력계통이 포화한 수도권 지역에 신규 데이터센터를 설립할 수 없도록 함과 동시에, 지역 분산을 유도할 정책적 지원을 펼치는 점이 골자다. 건폐율과 용적률을 완화하는 규제특례를 적용하고, 데이터센터 자체에서 전력을 직접 거래할 수 있는 ‘제 3자간 전력거래계약제도(PPA) 활성화’도 추진한다. 이밖에도 △전력시설부담금 할인 △시설공사비 50% 할인 △예비전력 요금 면제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지자체도 적극적이다. 강원도는 500억 원 이상 대규모 투자 건에 최대 350억 원을 지원하고, 기반시설 설치와 기업 맞춤형 원스톱 행정지원 서비스를 펼친다. 전라남도는 도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는 국내외 기업과 유턴기업에 투자 보조금을 최소 100억 원에서 1000억 원까지, 전라북도는 3000억 원 이상 투자시 최대 300억 원을 지원한다.

데이터센터 분산 필요성이 제기된 이유는 무엇보다 전력계통 수급 때문이다.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데, 대부분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한국전력 등 전기 공급자 부담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2022년 12월 기준 국내 147개 데이터센터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은 1762메가와트(MW)다. 오는 2029년에는 신규 데이터센터가 732개, 전력 수요는 4만9397MW에 달할 전망이다. 산업부는 데이터센터 분산이 적절히 이뤄지지 않으면 2029년까지 신청이 들어온 수도권 내 신규 데이터센터 601개소 중 단 6.7%인 40개소에만 전력을 적기에 공급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 (사진=네이버)


지자체로선 데이터센터 유치 시 일자리 창출과 전·후방 연관산업 활성화·유입이 가능하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IT 기업들이 유입되는 것은 물론 장비 등 지역 내 관련 기업들 또한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다.

기업들도 이에 호응해 지역 대학과 연계해 교육을 제공하거나 별도 시설을 마련해 인재 양성 및 취업까지 연계하는 등 ‘동반자’로 자리 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사진=카카오)


데이터센터가 과거 전자파와 유해물질을 분출할 수 있다는 이유로 유치를 꺼렸던 ‘혐오시설’ 이란 오명에서 벗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KT(030200), NHN(181710), 삼성에스디에스(018260), LG CNS, SK C&C 등은 에너지 효율과 ESG 경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친환경 시스템’ 도입으로 우려를 불식시켰다.

성과도 나오고 있다. 산업부가 발표한 데이터센터 지역분산 프로젝트 이행상황 점검 결과에 따르면 지역과 기업이 함께 하는 3개 선도 사업과 7개 유망 사업은 순항 중이다. 전라남도와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부산과 마이크로소프트·SK브로드밴드 사례가 대표적이다.

박웅희 전남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데이터센터 투자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건립과 운영 단계에서 직간접적인 고용과 생산활동이 활발해지며, 소득세 및 법인세 등과 같은 세수 확보를 기대할 수 있다”며 “해상풍력 기반 그린수소 생산클러스터 등과 연계해 정보기술 산업클러스터로 확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나연묵 단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정부에서 데이터센터 분산 정책을 내놓으니 지자체마다 유치에 나서는 중”이라며 “수도권은 이미 포화상태기 때문에 전력 여유가 있고, 기후 조건이나 지방 정부의 인센티브 등이 뒷받침되는 지역 유치가 현재의 흐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준공 후에 상면 임대가 얼마나 잘될지는 알 수 없다”며 “아마존웹서비스(AWS)나 마이크로소프트(MS)처럼 상면 수요가 있는 기업들이 입주하거나, 포항이나 울산 같은 곳은 제조업에서 입주할 수 있지만, 실제 결과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