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다크호스]'최적의 항암제 조합' 찾아 말기암 환자 생명연장에 기여

by강경훈 기자
2019.05.10 06:00:00

3차원 세포배양기 개발 구보성 엠비디 대표
인체 유사한 환경서 키운 암세포에
수십여 종 항암제 미리 투여
약물 쓰기 전 베스트 조합 만들어

구보성 엠비디 대표가 3차원 세포배양기 ‘Cellvitro’와 맞춤형 약물 선택 장비 ‘ASFA’를 소개하고 있다. 이를 이용하면 암 환자별로 최적의 항암제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사진=엠비디 제공)
[수원=이데일리 강경훈 기자] “암이 유전자 돌연변이로 생기기는 하지만 모든 암을 유전자로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유전자들의 집합체인 ‘세포’를 분석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환자의 세포를 분석해 가장 잘 맞는 항암제 조합을 약을 쓰기 전에 미리 분석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지난 9일 경기 수원시 광교테크노밸리 내 서울대학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서 만난 구보성 엠비디(MBD) 대표는 자체 개발한 3차원 세포배양 및 맞춤형 약물 선택 장비 ‘ASFA’에 대해 “정보과학(IT)과 생명과학(BT)의 융합”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2015년 설립해 이제 만 4년 차 신생 벤처기업이다. 업력은 짧지만 구 대표를 비롯해 대다수 연구원이 대기업 연구원 출신이다. 해당 기업이 관련 연구를 접기로 결정하자 이를 지속하기 위해 연구원들끼리 의기투합해 회사를 만들었다. 그동안 30여 건의 논문을 발표하면서 의학적 근거 축적과 동시에 각 병원과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 회사의 핵심 기술은 암세포를 인체와 유사한 환경에서 키워 항암제 투여 전 최적의 항암제 조합을 미리 찾는 것이다. 이 회사는 둥근 배양판(플레이트)이 아닌 기둥 형태의 3차원 구조체에서 세포를 배양하는 법을 개발했다. 구 대표는 “평면 플레이트를 쓰면 무거운 세포 성분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가라앉는다”며 “지방조직 등 세포 주변의 구조물을 덩어리 채로 세포와 함께 키우면 실제 몸속의 세포와 유사한 환경에서 세포를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 회사가 키우는 것은 암세포다. 암 수술 시 떼어낸 암 조직은 조직검사를 위해 일부를 쓰고 나머지는 폐기한다. MBD는 이 폐기하는 암 조직을 이용해 몸속 환경과 유사하게 암세포를 키운다.



지금까지는 암 수술 후 항암치료를 할 때 암 조직의 유전자를 분석해 돌연변이 여부를 파악한 후 이에 맞는 표적항암제를 썼다. 문제는 표적항암제가 듣는 환자가 일부에 불과하다는 것. 구 대표는 “특정 유전체의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개발했기 때문에 해당 돌연변이가 없는 환자들은 약을 쓸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며 “또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들도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유전자와 유전자가 든 세포의 환경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간과한 채 약을 개발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ASFA는 532개의 미세한 구조체에서 암세포를 키운다. 여기에 조합을 달리한 항암제들을 넣어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구 대표는 “독성항암제(1차 항암제), 표적항암제(2차 항암제), 면역항암제(3차 항암제) 등 그 동안 개발된 항암제 종류만 해도 수 십 종에 이른다”며 “병행치료를 할 때 만들 수 있는 항암제 조합의 경우의 수는 수 백 가지인데 어떤 조합이 베스트일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고 말했다.

ASFA는 도장에 인주를 묻혀 찍듯이 배양한 암세포 기둥을 수 백 가지 항암제 조합에 넣어 최적의 항암제 조합을 찾을 수 있다. 이 제품을 쓰고 있는 유럽의 한 병원에서는 6개월 시한부 판정을 받았던 말기 암환자가 최적의 항암제 조합을 찾아낸 덕에 수명을 1년 이상 늘리기도 했다. 구 대표는 “이 환자가 썼던 항암제는 전혀 다른 암에 쓰던 표적항암제와 독성항암제의 조합이었다”며 “표준치료로는 이 같은 항암제 조합을 찾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에서는 이미 MBD 제품이 3대 수출돼 있고 국내에서는 지난 4월 품목허가를 받았다. 서울아산병원과는 국책과제로 유방암 항암치료 예측 플랫폼을 공동 개발 중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미국립보건원(NIH)에서 해당 기술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도 예정돼 있다.

구 대표는 “개발 중인 신약이 어떤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지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고 부작용이나 독성 문제로 실패했던 항암제들의 가치 재창출에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제품이 본격 상용화되면 암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김다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