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위기의 지방대, 자구책 내야

by논설 위원
2014.02.03 07:00:00

‘위기의 지방대’를 살리겠다는 대학인들의 자구(自求)노력이 주목된다. 정부가 지난달 하순 대학정원 감축과 퇴출을 포함하는 ‘대학 구조개혁 추진계획’을 확정한 가운데 전국 20 여 개 지방대학의 교직원과 학생 등이 결성한 ‘지방대학발전포럼‘이 오는 3월부터 전국을 돌며 지방대 육성 방안을 주제로 토론회와 연구발표회를 연다고 한다.

이 포럼은 입학정원 급감, 낮은 취업률, 경쟁력 기반 붕괴 등 지방대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한다는 취지로 지난해 11월 창립했다. 포럼 상임대표 김현규 공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지방대 학생들 스스로 지방대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 해결에 참여하게끔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토론회 등을 열게 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 대학이 직면한 최대 문제는 학령인구(6~21세) 감소로 인한 입학정원 공백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학령인구는 2010년 1000만여 명에서 2040년 600만 명대로 줄어든다. 지방대는 그 정도가 더 심하다. 이에 따라 위기감을 느낀 지방대 중 일부는 ‘주한미군 공여 구역 주변 지역 등 지원 특별법’에 따라 규제가 풀린 수도권으로 학생을 쫓아 속속 진출하고 있다. 충남 홍성의 청원대가 지난 3월 인천 남구에 분교를 이미 개설했고 충남 금산의 중부대가 오는 3월 경기 고양시에 새 캠퍼스를 여는 등 충남 지역 대학들이 특히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대전광역시, 강원도 고성, 경북 영주, 전북 임실, 전남 광양 소재 대학들도 학생 유치를 위해 경기도 양주. 동두천.파주. 의정부. 고양의 옛 미군기지 부지에 캠퍼스를 짓고 있다.

‘지방대학발전포럼’은 장소를 바꿔가며 개최할 토론회 등에서 해당 지역 대학들이 직면한 문제의 원인(遠人)과 근인(近因)을 철저히 분석해야 한다. 그래야만 육성방안도 제대로 모색할 수 있다. 지역정서를 의식해 ‘일단 대학을 살려놓고 봐야 한다’는 식으로 여론몰이하는 것은 곤란하다. 지방대들은 정부의 대학평가 잣대가 수도권과 지방을 구분하지 않는다고 불평하기에 앞서 ‘포럼’과 힘을 합쳐 지방의 특수성을 설득력 있게 부각해 위기 극복방안을 내놔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