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쑥' 늘어나는 GS·SK 전기차 충전기…"中企 설 땅 잃어" 우려도

by윤종성 기자
2024.03.11 05:30:00

[전기차 충전시장, 판이 바뀐다]②
브랜드파워 걸맞게 서비스 향상 주도
시장개척 中企 경쟁력 밀려 퇴출 위기
"정책수단으로 대-중기 상생 모색해야"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직장인 이성진(47, 가명)씨는 얼마 전 법인 전기차를 몰고 장거리 출장을 갔다가 난처한 일을 겪었다. 고속도로 위에서 배터리 부족 경고 메시지가 떴는데, 휴게소 충전기가 모두 고장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급하게 고속도로에서 빠져나와 일반 국도변에 있는 충전소를 찾아 가까스로 충전할 수 있었다. 이씨는 “네비게이션에서 보면 충전이 가능한데, 막상 가보면 고장인 곳이 너무 많다”며, 혀를 찼다.

3년째 전기차를 몰고 있는 강영일(38, 가명) 씨는 충전을 할 때마다 눈살이 찌푸려지기 일쑤다. 거미줄이 쳐져있는 것은 다반사고, 새둥지나 벌집을 본 경험도 있기 때문이다. 김씨는 “거미줄 없는 충전기를 찾는 것이 힘들 정도로 충전소 관리 상태가 엉망”이라면서 “충전할 때 쓰려고 승용차에 항상 고무장갑을 구비해놓고 있다”며 웃었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전기차 충전시장이 대기업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면서 충전기 고장·방치 등 고질적인 관리 소홀 문제가 해소되고, 서비스의 질이 향상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다만 막강한 자본력과 브랜드 파워를 앞세운 대기업의 파상 공세에 시장의 싹을 틔운 중소기업들이 속절없이 무너져내릴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시각도 있다.



10일 국토교통부와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등록된 전기차는 54만3900대(2023년 12월말 기준)로 집계됐다. 전기차 충전기 보급 대수는 30만5309기로, 충전기 1기당 전기차 대수(차충비)는 1.9대였다. 차충비는 전체 전기차 대수를 충전기 개수로 나눈 수치로, 낮을수록 충전 부담이 적다는 의미다. 우리나라의 차충비는 유럽(13대), 세계 평균(10대), 중국(8대) 등 주요 전기차 선진국을 크게 앞선다.

문제는 설치한 후부터다. 정부 정책이 충전기 인프라의 양적 팽창에 치우친 탓에 관리와 운영은 부실했다. 실제로 한국전기차사용자협회의 지난해 4분기 충전기 실태점검 자료를 보면 정부 보조금이 투입된 공공 및 민간 공용급속충전기 771기 중 13.7%가 충전불가 또는 고장 상태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는 충전 불가능한 곳이 6.0%, 수리·보완이 필요한 곳이 7.7%였다. 7기 중 1기 가량은 충전 시 문제라는 것이다.

그나마 협회가 점검한 곳들은 이용 빈도가 높아 수익이 나는 충전기들로, 자동차환경협회 등에서 관리해온 곳이다. 업계에선 전국에 설치된 충전기 절반 이상은 낮은 이용률로 수익이 나지 않아 방치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일부 사업자들이 정부 보조금을 챙기려고 수요와 상관없이 엉뚱한 곳에 설치한 충전기들이다. 수도권을 벗어나면 쓰레기가 쌓이고 녹슬어 ‘흉물’이 된 충전소가 수두룩하다. 강승범 한국산업연합포럼 수석연구원은 “기본적인 수요 조사조차 없이 설치된 충전기가 부지기수”라면서 “수익이 나오지 않아 파산하거나, 사후 관리는 뒷전이다”고 말했다.



서울 시내 전기차충전소에 전기차가 충전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전문가들은 대기업의 전기차 충전사업 진출이 이같은 시장의 고질적 문제를 해소하고, 변화를 촉진하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는 이제 양적 팽창보다 질적 성장을 추구할 때”라면서 “자본력, 기술력, 브랜드파워를 갖춘 대기업들로 인해 충전시장이 보다 활성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기차 충전기시장은 크게 제조와 설치·운영으로 나뉘어진다. 양대 시장 모두 초기에는 벤처·스타트업 등 중소기업 위주였지만, 최근에는 대기업들이 세(勢)를 키우고 있다. 성장 잠재력을 눈여겨 본 SK, LG, 현대차, 롯데, 한화, GS, LS 등이 최근 2년새 앞다퉈 진출했다. 시장조사기관들은 지난해 550억 달러(약 73조원)였던 글로벌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이 2030년 3250억 달러(약 434조원) 규모로 약 6배 성장하고, 같은 기간 국내 시장은 9000억원에서 6조3000억원 규모로 7배 커질 것으로 예측했다.

전기차 충전기 설치·운영시장은 벌써 대기업 점유율(28.9%)이 30%에 육박한다. 충전기 4만5365기를 설치해 전체 사업자 중 1위인 GS차지비를 비롯해 △홈앤서비스(Sk계열) 1만4138기 △SK일렉링크 7155기 △LG유플러스 5633기 △한화솔루션 4063기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현대차 계열) 3621기 △이브이시스(롯데 계열) 2910기 △신세계 아이앤씨 3026기 △현대엔지니어링 2612기 등이 주요 사업자로 부상했다.

한켠에서는 시장을 개척했던 강소기업들이 대기업의 자본력 등에 밀려 강제 퇴출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기업들이 공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한다면 버티기 쉽지 않다”며 “자연스럽게 엑시트(투자금 회수)를 고민하는 기업이 늘어날 것”이라고 언급했다. 업계 노하우를 터득한 대기업들이 인수·합병(M&A)보다 자체 역량을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어 투자 유치가 힘들어졌다는 현실적 고민도 있다.

서울의 한 대학 교수는 “앞으로 충전기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설 땅이 점차 좁아질 가능성이 높다”면서 “보조금 수령이 목적인 ‘먹튀기업’ 뿐 아니라, 기술력을 갖춘 강소기업마저 대기업들과의 경쟁에서 밀려 생존을 위협받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대-중소기업의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등 정책적 수단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