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개혁과 함께 수익률 제고도 필요…대체투자 확대 관건
by조해영 기자
2022.05.31 05:01:00
[글로벌스탠더드에서 답을 찾다]방치된 연금개혁②
CPP 대체투자 50%…국민연금은 13.7%
2027년 대체투자 15%까지 확대 예정
투자결정 구조 복잡…의사결정 하세월
[이데일리 조해영 기자] 올해 들어 국민연금기금의 수익률은 계속해서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주식과 채권 같은 전통자산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경제 상황이 금리인상과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불안정한 까닭이다. 다만 그 가운데서도 대체투자는 꾸준히 플러스 수익률을 내고 있다.
국민 노후의 안정적인 보장을 위해선 연금 제도 개혁과 함께 국민연금기금의 수익률을 끌어올리는 것도 급선무다. 특히 전통자산보다는 사모나 인프라 투자 같은 대체투자의 비중을 확대하고 이 분야의 수익률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3월 말 기준 대체투자 규모는 127조1240억원, 전체 기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7%다. 올해 말 목표치인 13.4%를 소폭 웃도는 수준이지만 해외 연기금은 물론이고 국내 다른 주요 연기금·공제회와 비교했을 때도 낮은 수준이다.
캐나다연금(CPPIB)의 대체투자 비중은 전체 자산의 절반에 달하고, 네덜란드연기금(APG)의 지난해 말 대체투자 비중도 22.6%로 국민연금보다 높은 수준이다. 국내 연기금인 사학연금과 공무원연금의 대체투자 비중 역시 지난해 말 기준 각각 21.3%, 25.8%다.
높은 대체투자 비중이 반드시 안정적이고 높은 수준의 수익률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다만 대체투자는 사모투자, 부동산, 인프라 등 다양한 자산군을 포함하는 만큼 주식과 채권 모두 안정적인 수익률을 내기 힘든 상황에선 일종의 안전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3월 말 기준 국민연금의 대체투자 수익률은 2.36%였던 반면 전체 기금에서 높은 비중(35.1%)을 차지하는 국내채권 수익률은 -2.87%에 그쳤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지금처럼 주식과 채권이 같이 안 좋은 시기에는 대체투자가 그나마 수익을 낼 수 있게 해준다”며 “국민연금뿐 아니라 많은 기관투자자가 대체투자 비중을 늘리기 위해서 애쓰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국민연금 역시 대체투자 확대를 목표로 내걸고 있지만 증가 속도는 미미한 편이다. 5년 전인 지난 2017년 말 기준 국민연금의 대체투자 자산은 전체 기금의 10.75%로 4년여 사이에 3%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기금 규모가 크기 때문에 투자 비중을 급격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것이 이유로 꼽히지만, 의사결정 구조가 복잡해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해외 연기금과 비교했을 때 국민연금은 프로젝트형 대체투자 의사결정을 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이다. 국민연금의 경우 통상 6~8주가 소요되는 투자 결정이 CPPIB 등 주요 해외 연기금에선 3주 내외로 짧다. 자산 전체를 해외에 투자하는 한국투자공사(KIC)도 한 달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연금은 지난해 대체투자소위원회에서 논의할 수 있는 안건의 요건을 완화했다. 대체투자소위원회는 규모가 크지 않은 투자 건에 대해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기구로, 국민연금은 소위원회 요건을 5000만달러 이하에서 1억달러 이하로 늘렸다. 올해는 위탁운용이 불가피한 대체투자의 특성을 고려해 위탁운용 범위 한도를 95%에서 99%까지 풀어주기도 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최근 국민연금의 대체투자 비중은 목표비중을 소폭 웃도는 수준까지 올라섰지만 여전히 근본적인 한계도 있다. 인력 이탈이 대표적이다. 투자업계 전체적으로 대체투자 수요가 높아진 만큼 우수한 운용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민연금은 계속해서 대체투자를 늘려나가야 한다”며 “우수한 인력을 확보해 대체투자 내에서도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