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산 넘어 산' 공급망 불안, 정부도 대책에 팔 걷고 나서야

by논설 위원
2022.01.25 05:00:00

원자재나 부품을 수입하는 기업 대다수가 지난해 극심했던 글로벌 공급망 불안이 올해도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다. 올해 공급망 전망에 대해 조사대상 기업 중 88.4%가 “계속되거나 악화할 것”이라고 했고, 나머지 11.5%만이 “완화될 것”이라고 했다.

더 큰 문제는 속수무책인 기업도 대다수라는 점이다. 공급망 리스크 대책을 “세웠다”고 응답한 기업은 조사대상 기업 중 9.4%에 불과했다. 53.0%는 “대책이 없다”, 36.1%는 “대책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공급망 리스크에 대응하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이야기다. 개별 기업의 입장에서는 해외 공급처를 다변화하거나, 재고를 더 많이 쌓거나, 국내 조달을 확대하는 방법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 하나하나가 난제다. 미·중 자원 갈등을 피해가며 해외 공급처를 새로 발굴하기가 쉽지 않다. 재고나 국내 조달을 늘리는 데는 비용 부담이 따르고, 국내 조달이 아예 불가능한 경우도 적지 않다.



게다가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이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맞물리면서 기업들을 갈수록 더욱 옥죄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석유류·광물·농림수산물 등 원재료의 수입 물가가 42.3%나 올랐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이후 13년 만의 최대폭 상승이다. 한국광해광업공단이 운영하는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국제시장에서 이번 달 연료용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은 1년 전에 비해 무려 140% 올랐다. 같은 기간 전기차와 스마트폰용 배터리의 주요 소재인 리튬과 니켈의 값도 544%와 31%나 급등했다.

대기업이라면 어느 정도 대응 능력이 있겠지만 중소기업은 대부분 알고도 당할 수밖에 없다. 공급망 불안으로 인한 생산 차질이나 비용 급증에 속이 타들어가는 중소기업인이 허다하다. 정부는 기업과 함께 공동 대응에 적극 나서야 한다. 원자재 수급 상황 모니터링에서부터 공급망 애로 해소를 위한 외교활동에 이르기까지 모든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공급망 불안은 수입 물가 상승과 함께 무역 수지 악화를 부추겨 우리 경제에 치명타를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