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홍수 나자 하천에 둥둥…사실 '수영하는 사슴'입니다
by박한나 기자
2020.08.02 00:30:02
헤엄치고 화장실 가리기까지...고라니의 재발견
세계적 멸종위기종, 北에선 천연기념물로 보호
한국선 유해조수…유독 개체수 넘치는 이유는?
국립생태원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보여주는 보물"
[이데일리 박한나 기자] 지난주 폭우로 대전지역이 큰 홍수피해를 입은 가운데, 불어난 하천물에 떠내려가는 동물이 뉴스 영상에 포착됐다. 물속에 있는 건 고라니 한 마리였다. 급류에 휩쓸려가는 모습에 안타까워할 새도 없이 고라니는 스스로 탈출해 산책로를 향해 폴짝 뛰어갔다.
| 인천시 강화군 바다에서 헤엄친 후 물가를 걷는 고라니. (사진=강화바다정원펜션 제공) |
|
이에 ‘고라니는 물에 빠진 게 아니라 물놀이 중인 것’이라며 감탄하는 반응이 나왔다. 또 우연히 목격한 고라니의 수영실력이 수준급이었다는 증언도 보인다.
실제로 고라니의 영어 명칭은 ‘water deer’이다. 본래 물가에서 노니는 사슴이니 헤엄도 친다. 그러나 주로 풀숲이나 산에서 보게 되는 고라니가 강이나 호수, 심지어 바다를 건너는 것을 보면 놀랍고 신기하다.
최근에는 도심까지 내려오는 일이 빈번하다 보니 사람과의 접점도 늘고 있다. 사람을 심하게 경계하는 야생동물이지만 손을 타는 경우도 있다.
지난주 SBS ‘세상에 이런 일이’에서는 어미를 잃은 고라니 새끼 두 마리를 아파트로 데려와 키우는 가족이 소개됐다. 고라니들은 아이들 품에 척 안기는가 하면, 배변은 화장실로 가서 해결하고 산책까지 따라나와 반려견과 다를 바 없는 모습이었다.
이 방송에 출연한 박병권 한국도시생태연구소 소장은 “고라니는 한 번 소변 봤던 자리를 기억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며 “삶의 적응 속도는 (개보다) 4~5배쯤 빠르다고 보시면 된다”고 설명해 놀라움을 더했다.
| 사진=SBS ‘순간포착-세상에 이런일이’ 방송화면 |
|
사실 가장 의외인 점은 고라니가 희귀종이라는 것이다. 먹성이 좋고 날쌘 데다 헤엄도 치니 생존력이 굉장할 것 같지만, 한국 밖에서는 보기 어렵다. 고라니가 겨우 1만여 마리 서식하는 북한에서는 이 동물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했고 중국 동부 지역에서도 적극 보호한다.
그러나 분포도가 의미 없을 정도로 고라니가 전국구로 퍼진 한국에서는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다. 곳곳에서 농작물을 파헤치고 먹어치우는 탓에 원성이 높다.
이에 고라니는 세계적 멸종위기종이지만 대다수 개체가 서식하는 한국에서는 유해조수로 지정되는 모순이 발생했다. 환경부는 멧돼지, 멧비둘기, 청설모, 참새처럼 고라니를 잡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고라니는 연간 17만 마리가 수렵꾼에게 잡히거나 로드킬로 죽음을 당한다. 그럼에도 전국에 50만~70만마리가 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넘치는 개체수를 조절하는 것은 고민거리지만 고라니가 애물단지인 것만은 아니다. 국립생태원에서는 고라니가 한국의 생태다양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보물’이라고 규정했다.
국립생태원은 2016년 ‘국립생태원 에코 가이드’ 시리즈를 발간하면서 가장 먼저 한국 고라니를 조명했다. 생태원은 “고라니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부에만 존재하고 있는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희귀종을 찾아 보전하는 일은 국가 차원의 생물자원 확보 및 경쟁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한국 고라니는 우리나라 생물 다양성의 커다란 보물이라고 할 수 있다”고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또 연구 결과, 고라니는 한반도와 중국 동부 지역에 무려 210만~130만년 전에도 존재했다고 밝혔다. 빙하기 전부터 지금까지 한국 땅에 뿌리내린 토착종인 셈이다.
더불어 물을 좋아하지만 습지 외 다양한 환경에서 살 수 있고 한국의 온대기후에 잘 적응한 점도 생존력을 높였다. 한국에서 고라니의 천적이 크게 번성하지 않은 점도 이유로 꼽힌다.
| 왼쪽부터 2016년 기준 세계 고라니 서식지, 한국의 고라니 분포도 (사진=국립생태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