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 뇌관' 터지나]'물량 털기' 부메랑..집값 폭락·건설사 부실 가능성
by양희동 기자
2015.05.04 05:00:58
실수요자 물량 소화 못할땐 미분양·계약파기 이어질 듯
강남 재건축 입주 끝나면 김포·용인 수요감소 불보듯
| △올해 전국 주택 분양 물량이 12년 새 최다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2~3년 후 입주 시점에 공급 과잉에 따른 집값 하락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수도권 최대 신도시인 경기도 화성 동탄2신도시에서 아파트 건설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사진=LH] |
|
[이데일리 양희동 김성훈 기자] 1. 현대산업개발은 올해 초 사업 중단 상태에 있던 경기도 김포시 사우지구의 부실채권(NPL) 사업장을 채권자인 군인공제회로부터 약 900억원에 인수했다. 분양시장이 호조세를 보이면서 택지 확보에 나서면서 그동안 관심 밖이었던 부실 사업장에까지 눈길을 돌린 것이다.
2.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지난 21일 시행한 인천 가정지구 5블록 공동주택용지(전용면적 60~85㎡·990가구) 추첨에서 호반건설 계열사인 티에스주택은 무려 ‘437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뚫고 부지를 낙찰받았다. 공급가격이 920억원인 이 땅은 올해 들어 공급된 공동주택용지 중 가장 높은 당첨 경쟁률을 보였다.
올해 들어 전세난에 지친 실요자들이 대거 내 집 마련에 나서고 있다. 분양시장도 수도권 택지지구를 중심으로 수십대 1의 1순위 청약경쟁률을 기록한 단지가 속출하며 호황을 누리고 있다. 건설사들은 시장 침체기에 쌓아둔 물량을 털기 위해 밀어내기 분양을 시도하는 한편 아파트를 지을 새 택지 확보에도 혈안이다. 하지만 분양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면서 2~3년 뒤 입주 물량 과잉에 대한 경고등도 켜진 상태다.
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연면적 기준 1381만 6000㎡로 지난해보다 33.5%가 늘었다. 특히 서울·수도권은 632만 3000㎡로 전년 대비 57.5%나 급증했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 주택 인·허가 물량을 가구 수로 추산하면 약 38만 가구에 달한다. 이는 2007년(30만 2551가구)이후 최고치다.
전문가들은 쏟아지는 주택 물량이 공급 과잉에 따른 입주 물량 폭탄으로 이어지면 집값 하락은 물론 건설사 재무구조에 심각한 타격을 안겨줄 수 있다고 지적한다. 함영진 부동산114리서치센터장은 “수요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현재와 같은 공급 추세가 유지되면 분양시장은 조만간 ‘소화 불량’에 걸릴수 있다”며 “실수요만으로 물량을 소화하지 못할 경우 입주 시점에 미분양과 계약 파기로 이어져 건설사와 입주자는 물론 주변 상권까지 피해를 입힐 수 있다”고 강조했다.
건설사들이 과잉 공급에 따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관점의 수급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업계가 물량 털기에 급급하지 말고 향후 입주 시점을 고려해 수요에 맞게 공급시기 및 지역을 조정해야 장기적 사업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 강남권 재건축 이주 수요를 흡수하며 최근 분양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경기 김포·용인 등 수도권 외곽지역은 입주 시점에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강남권 재건축이 마무리 돼 이들 지역에서 다시 싼 전세 물량이 쏟아지면 수도권으로 향했던 수요가 상당수 서울로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남수 신한금융투자 부동산전문위원은 “개포·고덕지구 등에서 입주 후 저렴한 전세 물건들이 풀리면 수도권 외곽으로 나갔던 사람들이 다시 서울로 돌아갈 것”이라며 “외곽지역 수요 감소가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 경우 남은 입주자들은 하우스푸어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공급 총량만으로 입주 시점의 시장 침체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는 주장도 있다. 김현아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경제연구실장은 “올해 분양 예정 물량 중 일반분양 증가분만 따로 계산하면 실제로는 공급 과잉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 △2007년 이후 전국 및 서울·수도권 주택 인·허가 물량 추이 및 올해 예상치. [자료=국토부·단위=만 가구] |
|
| △2005년 이후 10년간 전국 및 서울·수도권 분양 물량 추이 및 올해 예상치. [자료=부동산114·단위=만 가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