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1년만에 파업..물류 차질 우려

by안준형 기자
2009.06.11 00:58:40

대한통운과 협상 결렬..자정부터 파업
'화물연대 인정' 문제가 최대 난제..파업강도 주목

[이데일리 안준형기자] 화물연대가 대한통운(000120)과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11일부터 파업에 돌입했다. 이는 지난해 6월 화물연대 파업 이후 1년만이다.

이에 따라 산업 전반에 걸친 물류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지난해 화물연대 파업으로 철강업체들은 원자재 운송의 어려움으로 공장 가동까지 중단했으며, 자동차나 전자업체들도 제품을 제때 해외로 실어 보내지 못했다. 국내 산업의 `피`가 제대로 돌지 못했던 것.

지난해 화물연대 파업은 운송료 인상이 핵심이었다. 유가급등으로 차주들의 수입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화물연대 소속이 아닌 많은 차주들도 운송거부에 참여했었다. 결국 화물연대는 컨테이너운송사업자협의회(CTCA)와 운송료 19% 인상 등에 합의하고 일주일만에 파업을 종료했다.



하지만 올해 화물연대는 대한통운을 타깃으로 요구안을 내세웠다. 계약 해지자 복직, 운송료 인상, 화물연대 인정 등이 요구안이다. 이와 관련 대한통운은 계약 해지자에 대해 재계약 또는 정규직원 채용 등을 제시했으나, 화물연대를 인정하는 데 양측이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화물연대가 파업에 들어가면서 무엇보다 파업의 강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화물연대 파업이 지난해 유가급등에서 이뤄진 것과 상황이 달라 파장은 덜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그러나 화물연대가 운송거부뿐 아니라 항만 봉쇄와 고속도로 점거 등의 방식을 동원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물류대란`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