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카카오모빌리티 지분 매각 열쇠…카카오엔 없다?

by김성훈 기자
2022.07.21 05:00:00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협상 장기화 조짐
지분 보유한 재무적투자자 의중 '관심'
10%대 지분 매각 후 2대주주 성립 관건
"PEF간 지분 거래 성사가 관건" 평가도

[이데일리 김성훈 기자]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매각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유의미한 지분을 들고 있는 재무적투자자(FI)들의 의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얼핏 카카오(035720)가 주도하는 판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면에는 FI들의 지분 매각을 이끌어내야만 최종적으로 방점을 찍을 수 있어서다.

카카오가 언급한 ‘지분 매각 이후 2대 주주’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 와중에 ‘사모펀드(PEF) 운용사로의 매각은 안 된다’는 임직원과의 갈등까지 더해지며 실타래가 좀처럼 풀리지 않는 모습이다. 우여곡절 끝에 얽히고설킨 지분 매각을 갈무리할 수 있느냐가 관건으로 떠올랐다.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매각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유의미한 지분을 들고 있는 재무적투자자(FI)들의 의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울 시내에서 카카오 택시가 운행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20일 자본시장에 따르면 이달 10%대의 지분 매각을 공식화한 카카오 측은 지난 18일 카카오모빌리티 직원들과 소통의 자리를 마련했지만 별다른 의견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카카오 측은 이 자리에서 “쉽지 않은 결정이지만 카카오모빌리티 성장을 위해서는 불가피한 조치”라고 매각 배경을 설명하면서 “카카오모빌리티 매각작업이 아직 구체적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다음 달에는 구체적으로 진행 여부를 알려 드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사측의 부연에도 카카오 노조인 ‘크루 유니언’은 사모펀드로의 매각 반대를 재차 강조하며 평행선을 달렸다. 크루 유니언은 오는 25일 인수 대상자로 떠오른 PEF 운용사인 MBK파트너스 매각 반대 집회도 열기로 했다.

사측과 임직원 간 갈등이 수면위로 떠오른 상황이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지분 매각을 위해 신경 써야 할 변수는 한 두가지가 아니다. 카카오모빌리티 최대주주인 카카오가 주도하는 협상이라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지만 카카오가 마음먹은 대로 진행하기에 녹록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임직원과의 갈등 말고도 풀어내야 할 부분이 FI들과의 의견 조율이다. 카카오모빌리티 주요 주주는 △카카오(57.5%) △TPG컨소시엄(29.0%) △칼라일(6.2%) △LG(2.5%) △구글(1.5%) △GS리테일(1.3%) 등이다. 업계에 따르면 TPG는 지난 2017년 투자 당시 지분 매각이나 주요 경영 사항에 대해 각각 동반 매도권과 거부권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그래픽=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그렇다면 카카오가 언급한 ‘10%대 지분 매각을 통해 2대 주주로 남기’ 성립을 위한 경우의 수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일단 카카오가 2대 주주로 남기 위한 지분 매각 마지노선은 약 12%다. 이 경우에는 원매자가 2대 주주인 TPG컨소시엄과 칼라일의 지분을 모두 인수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붙는다.

카카오가 10%대 지분 매각 최대치라 할 수 있는 19.9%를 판다면 칼라일 지분 없이도 TPG컨소시엄 지분 인수 만으로도 1대 주주 지위를 꿰찰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카카오 외에도 외국계 PEF 운용사인 TPG컨소시엄과 칼라일 지분을 세컨더리(PEF 운용사간 거래) 형태로 인수가 동시에 이뤄져야만 카카오가 2대 주주로 남을 수 있다는 의미다.

문제는 세컨더리 형태로 지분을 넘기는 과정에서 가격 협상이 얼마나 순조롭게 이뤄질 수 있느냐다. 이미 몸값 8조5000억원을 인정받으며 10조원 밸류에이션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FI들이 순순히 몸값 낮추기를 받아들이겠느냐는 점이 관건이다.

최근까지 얘기가 나왔던 기업공개(IPO)를 통한 엑시트(자금회수)를 노리던 FI들 입장에서는 공모주 시장이 호전될 때까지 기다리고 싶은 마음이 남아 있을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카카오가 앞장서 지분 매각에 나서더라도 중요한 걸림돌을 또 넘어야 하는 셈이다. 협상 과정에서 유리한 옵션 설정을 통해 지분 매각을 원활하게 가져갈 가능성도 있지만 확실한 점은 ‘잃는 장사’는 하지 않을 거란 점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각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의 매각 열쇠는 카카오가 쥐고 있는 게 아니라는 말도 나온다. 한 PEF 운용사 관계자는 “이면에 어떤 협의가 이뤄지고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고 전제하면서도 “웃돈을 쳐주지 않는 이상 FI들이 원매자 측이 원하는 가격에 순순히 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주주 구성을 다시 세팅하는 과정에서 급하게 엑시트 해야 하거나 또는 펀드 마감 시한이 촉박하지 않은 이상 급할 이유가 적어 보인다”며 “임직원과의 갈등도 문제지만, 지분을 들고 있는 투자자들간 의견 조율을 어떻게 이끌어 내는지도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