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는 기회”…‘급락’ 텐센트·디디추싱 사들이는 서학개미

by김윤지 기자
2021.07.13 00:30:00

기술주 우호 환경에도 中당국 규제에 급락
텐센트·디디추싱 합쳐 300억원 순매수
개미, 항생테크 ETF 이달 350억원 순매수
“단기 하락 불가피, 장기 성장성 여전”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국내 투자자들이 최근 변동성이 커진 중국 대형 기술주로 눈을 돌렸다. 악재가 겹치면서 주가가 급락하자 저가 매수 기회로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증권가에선 반독점 규제에서 시작된 중국 당국의 대형 IT 기업 길들이기가 중국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 리스크로 확대되는 등 단기간 주가 하락은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다만 장기적인 측면에서 성장성이 훼손됐다고 보긴 어렵다고 판단했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12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세이브로)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이날까지 국내 투자자들은 홍콩 증시에 상장한 텐센트 홀딩스를 1483만 달러(170억원), 뉴욕 증시에 상장한 디디추싱을 1205만 달러(138억원) 순매수했다. 알파벳A(구글), 아마존, 페이북,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빅테크 종목들이 변함없이 순매수 상위권을 차지하는 가운데 중국 기술주가 순매수 상위 15위권에 이름을 올린 것이다.

이들은 중국 당국의 규제로 주가가 급락했단 공통점이 있다. 차량 공유업체인 디디추싱은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 기념일인 7월 1일을 하루 앞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뉴욕증권 거래소에 상장한 새내기 주식이다. ‘중국판 우버’로 불리며 장중 한때 18달러까지 치솟았지만 상장 사흘 만에 중국 당국의 국가 안보 조사 대상이 되면서 주가가 고꾸라졌다. 뉴욕 3대 지수가 역사적 최고가를 경신했던 지난 9일 디디추싱의 종가는 12.03달러로 공모가 14달러를 14.07% 밑돌았다.

홍콩 증시에 상장한 여타 중국 대형 기술주도 마찬가지다. 9일 종가 기준 지난달 말 대비 텐센트는 7.79%, 알리바바는 11.14% 각각 하락했다. 디디추싱 사태로 반독점 규제 외에도 데이터 안보 강화를 이유로 당국의 개입이 더 확대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조성된데다, 지난 7일 중국 시장감독관리총국이 반독점법을 근거로 중국 대형 IT업체들의 과거 인수 행위에 대해 각각 50만 위안의 벌금 부과를 결정한 여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기 조정일 수 있다는 낙관론이 매수로 이어졌다. 이 같은 흐름은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는 이달 ‘TIGER 차이나항셍테크’를 350억원치 순매수했다. ‘KODEX 레버리지’, ‘TIGER 미국테크TOP10 INDXX’에 이어 ETF 순매수 3위에 해당한다.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대표 기술주의 주가를 반영한 ‘Hang Seng TECH Index’를 추종하는 ETF다. 금리 하향 안정화로 미국 증시에서 IT와 성장주 위주 상승세가 포착되는 것과 달리 항생테크지수가 요즘 힘을 못쓰면서 이달 6.70% 하락했다. 써니 옵티컬 테크놀로지(8.28%), 알리바바(8.19%), 샤오미(7.88%), 메이퇀(7.75%), 텐센트(7.62%) 등을 담고 있다.



증권가는 해외 상장 기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정보 노출 위기 의식이 높아졌다는 데 주목했다. 중국 IT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상장 요건이 까다로운 중국 국내 증시와 홍콩 증시를 피해 미국에 상장해 온 만큼 해당 산업의 자본 조달 능력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지난 6일 중국 당·정이 발표한 ‘증권 위법 활동에 대한 엄벌에 대한 의견’을 예로 들었다. 역외상장 중국 기업에 대한 관리 감독 강화, 데이터 안전 관리 강화 등을 내용으로 한다.

김 연구원은 “전세계적인 위험자산 선호 환경 속에서 구조적 위험이 높아진 역외상장 중국 기업과 홍콩 플랫폼 기업 중심으로 투매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면서 “당국이 법제화를 통해 역외상장 제한, 지배구조 점검 가능성이 있어 의견 발표 이후 제재 강도를 파악하기 전까지 투심이 빠르게 회복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중국 기술주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은 여전하다고 짚었다. 박기현 SK증권 연구원은 “중국 기술주를 압박하는 여러 변화가 있지만, 너무 부정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면서 “AI, 차세대 정보기술, 양자통신 등을 내용으로 하는 중국의 14차 5개년 규획의 산업 및 기술 발전 계획에서 플랫폼 기업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고, 이들이 구축한 시스템은 사회의 필수 불가결한 인프라로 자리잡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