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재호 기자
2014.10.20 05:00:00
올해만 시안·우한·허페이 등 동시다발적 투자
레드오션 동부 벗어나 신시장 중서부로 진출
[이데일리 이재호 기자] 삼성이 포화 상태에 달한 중국 동부 연안을 벗어나 중서부 내륙 지역으로 생산 및 영업 거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시진핑 정부의 내륙 개발 의지에 부응하는 한편,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구매력을 갖춘 소비자를 찾아 나서는 등 비즈니스 영토를 확장하기 위한 조치다.
◇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SDI(006400)는 중국 안후이성 허페이(合肥)에 ESS(에너지저장장치) 생산 공장을 짓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현재 합작 파트너인 선그로우 및 안후이성 정부와 계약 내용을 최종 조율 중이다.
허페이는 중국 동부 연안와 중서부 내륙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물류의 요지로 꼽히지만, 국내 기업 진출은 드문 곳이다.
삼성SDI가 ESS 공장 부지로 허페이를 선택한 것은 현지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밝힌 데다, 이공계 및 기술전문학교가 밀집돼 있어 인력 충원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다. 공동 투자키로 한 선그로우가 허페이 기반의 기업이라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이에 앞서 삼성SDI는 6억 달러를 들여 중국 산시성 시안(西安)에서 전기차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기로 하고 지난 8월 기공식을 개최했다. 시안은 중국 정부가 추진 중인 중서부 개발 정책의 핵심 지역이다. 내년 하반기부터 허페이 ESS 공장과 시안 전기차배터리 공장이 본격 가동되면, 삼성SDI의 중국 시장 공략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ESS와 전기차배터리는 삼성SDI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 중인 사업”이라며 “특히 중국은 두 분야에서 세계 최대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는 만큼 삼성SDI의 실적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005930)도 중국 내륙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70억 달러를 투자해 시안에 건설한 낸드플래시 공장은 지난 5월부터 양상 체제에 돌입했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3차원(3D) V낸드는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의 미래를 책임질 주력 제품이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지난 8월 후베이성 우한(武漢)에 화중(華中)지사를 설립했다. 화중지사는 삼성전자의 6번째 중국 지사다. 기존 지사들은 대부분 중국 동부에서 운영돼 왔다. 이번 화중지사 설립은 중국 내륙의 소비자들을 상대로 영업을 강화하기 위한 포석이다. 특히 우한은 인구 1300만명, 1인당 국내총생산(GDP) 1만 달러 이상으로 충분한 구매력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