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논설 위원
2025.06.02 05:00:00
지난 29~30일 실시된 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에서 부실한 관리 사례가 속출했다. 투표용지가 투표소 밖으로 반출됐고, 투표함에서 지난해 총선 투표용지가 발견됐다. 투표 사무원이 중복 투표하는 일도 벌어졌다. 사실 여부가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나 관외투표 회송용 봉투 안에 특정 후보에게 기표된 투표용지가 들어 있었다는 신고도 있었다. 이번 선거는 여느 선거보다 부정선거 음모론이 횡행하는 가운데 치러지고 있다. 그럼에도 투표관리에서 이처럼 허점이 노출되고 있어 선거 후 혼란 가능성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투표용지 반출은 서울 신촌에서 유권자 30여 명이 투표소에서 받은 투표용지를 들고 투표소 밖에서 줄을 서서 대기한 사건이다. 그 가운데는 투표용지를 들고 다른 곳에 가서 점심식사를 한 뒤 돌아와 투표를 한 사람도 있었다. 이에 대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투표용지 발급 속도를 조절하지 못해 협소한 투표소 안에 대기자를 다 수용하지 못한 탓이라며 국민에게 공식 사과했다. 투표함에서 총선 투표용지가 발견된 것은 경기 김포와 부천에서 일어난 일이다. 중복 투표는 서울 강남에서 투표 사무원이 남편의 신분증으로 대리투표를 한 뒤에 자신의 신분증으로 또 투표하다가 적발돼 경찰에 고발된 사건이다.
이런 사례들은 명백한 투표관리 부실이다. 선관위가 정신을 바짝 차리고 업무에 임했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내용이다. 대국민 사과로만 끝낼 일이 아니고 누구의 과실이나 임무 해태 때문인지 책임 소재를 가려 응분의 문책을 해야 한다. 회송용 봉투 안에서 기표된 투표용지가 나온 사건도 경찰 수사 결과만 기다릴 일이 아니다. 선관위는 “자작극이 의심된다”고 했지만 그렇지 않고 사실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자체 조사를 병행해야 한다.
국민적 의혹을 증폭시킬 이 같은 부실한 관리 사례가 내일 본투표에서 또 다시 일어나서는 결코 안 된다. 중앙선관위는 투표소와 투표함 재점검을 몇 번이라도 거듭해 문제 발생 소지를 없애고, 전국의 각 투표소와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비상대응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계엄과 탄핵 과정에서 불거진 선관위 불신론을 선관위 스스로가 이번 선거의 철저한 관리로 불식시키고 존재 의의를 입증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