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일자리도 양극화, 고용 취약계층 안전판 강화해야

by논설 위원
2021.11.11 05:00:00

10월 취업자 수 증가폭이 두 달 연속 60만명대를 기록했다. 고용률과 실업자 수, 실업률 등 고용 관련 지표들이 대부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비대면 디지털화로의 고용구조 변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단순 노무직과 같은 대면 업종의 노동수요가 줄고 있어 일자리 양극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65만 2000명 늘었다. 평상시 연간 증가폭이 30만명 선임을 감안하면 두 배를 넘는 수준이다. 실업자 수는 1년 전보다 24만 1000명이나 줄었고 실업률(2.8%)도 0.9%포인트 하락해 10월 기준으로 8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30대 취업자 수가 20개월째 감소하고 있으나 고용률, 즉 인구 대비 취업자 수 비율은 높아졌다. 이는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 영향을 배제하면 청년층 고용 사정도 호전되고 있다는 뜻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페이스북에 “코로나19 발생 이전 고점인 지난해 2월 취업자 수의 99.9%를 회복했다”고 적었다.



그러나 안심할 때가 아니다. 일자리 사정이 총량적으로는 좋아지고 있지만 그늘이 남아 있다. 코로나19는 비대면 디지털화로의 고용구조 변화를 가속화하는 촉매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는 비대면 디지털화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업종도 적지 않다. 단순 노무직이나 도·소매판매업 등이 그런 분야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그제 발간한 ‘코로나 위기가 초래한 고용구조 변화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에 따른 기술 변화로 2025년까지 단순 노무·서비스직에서 일자리 21만개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됐다.

비대면 디지털화 등 기술 변화로 전문지식이나 기술을 필요로 하는 일자리 비중이 늘어나고 단순 노무 서비스직 비중이 줄어드는 고용구조 변화는 바람직하며 장기적으로 가야 할 방향이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일자리를 잃게 되는 다수의 소외 계층이 낙오자가 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안전판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는 고용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수급 불균형을 완화하고 경제적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정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