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들썩]“온라인 개학은 최선의 선택” vs “현장 목소리 안 듣나”
by장구슬 기자
2020.04.05 00:30:00
초중고 4월9일부터 순차적 온라인 개학
“잘한 일” vs “혼란스럽다” 의견 갈려
교사 46% “정규수업 대체 어려워”
[이데일리 장구슬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가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이라는 방안을 꺼내 들었습니다. 이를 두고 찬반 의견이 크게 갈렸습니다. 최선의 선택이라는 긍정적인 반응도 있지만, 갑작스러운 시행에 따른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달 3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초·중·고교 개학 방안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시행 기본계획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
◇교육부는 지난달 31일 전국 유치원을 제외한 초·중·고 및 특수학교에서 차례로 온라인 개학을 한다고 밝혔습니다. 오는 9일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3학년이, 16일에는 고등학교 1~2학년, 중학교 1~2학년 및 초등학교 4~6학년이, 20일에는 초등학교 1~3학년 학생이 온라인 개학을 합니다.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도 당초 계획보다 2주 미뤄진 12월 3일에 시행합니다.
◇교육부의 발표 이후 온라인 개학과 관련한 검색어가 주요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상위권을 장악했습니다. 관련 기사엔 댓글이 많게는 천 개 이상 달렸고, 각종 커뮤니티 등에도 관련 글이 잇따라 올라왔습니다.
교육부 결정에 동의한다는 사람들은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한 최선의 방안이라는 의견입니다.
누리꾼 ‘vikl****’은 “어떤 결정이든 기회비용은 존재하기 때문에 완벽한 대안은 없다.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사태에 하나씩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 비난만 일삼는 건 옳지 않다.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있지만, 아무것도 안 하고 손 놓을 순 없다. 이런저런 방법을 논의하고 시도하고 해결해 나가야 한다”라는 댓글을 남겨 2700여 명 이상이 공감했습니다.
많은 누리꾼들이 “문제점을 잘 극복해서 좋은 제도로 정착되길”, “또 다른 바이러스가 유행 가능한 시대이기에 아이들의 안전을 우선순위에 두고 지혜롭게 극복해 나갔으면 한다”는 등의 댓글을 달았습니다.
| 지난 3월31일 오후 원격교육 시범학교로 지정된 서울 마포구 서울여자고등학교에서 한 교사가 학생들과 함께 쌍방향 원격 수업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
반면 예행연습 없이 시행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도 온라인 상에 파다합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누리꾼은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재택근무를 하지 않는 맞벌이 부부다. 어머니가 아이를 봐주고 있지만, 스마트 기기를 잘 다룰 줄 모르신다. 수업을 듣다가 시스템이 갑자기 멈추는 등 오류가 나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고민”이라는 글을 남겨 많은 공감을 받았습니다.
여기에 누리꾼 ‘cns1****’은 “맞벌이 부부들의 고충, 현장 교사들의 인프라 구축 어려움, 다자녀 가구의 한계 등을 이유로 온라인 개학을 반대하는데, 왜 현장의 목소리는 듣지 않느냐”라는 내용의 댓글을 달아 1300여 명 이상의 동의를 받았습니다.
◇여론은 어떨까요. 교육부 발표를 하루 앞둔 지난달 30일 리얼미터가 YTN ‘더뉴스’ 의뢰로 전국 성인 7902명을 대상(500명 응답)으로 온라인 개학에 대한 찬반 의견을 조사한 결과 찬성 60.5%, 반대 23.2%, 모름·무응답은 16.3%로 각각 나타났습니다.
온라인 개학을 준비해야 하는 교사들은 부정적인 입장입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이 지난달 27~29일 전국 고교 교사 97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55.2%가 ‘개학 연기가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온라인 개학은 21.6%가 찬성했습니다.
그러나 교총은 온라인 개학에 대해 응답자의 90%가 부정적 의견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학사·입시 일정상 불가피하지만 정규수업 대체는 어렵다’는 응답이 45.7%로 가장 많았으며, 온라인 개학 자체를 반대하는 교원은 44.7%에 달했습니다. ‘온라인 수업으로 정규수업 대체가 가능하다’는 답변은 9.6%에 불과했습니다.
교총은 “온라인 개학은 학생들에게 학습격차를 유발할 수 있다”며 “특히 농산어촌, 저소득층, 맞벌이 부부 자녀와 장애학생 등 온라인 격차가 뻔한 상황에서 이를 정규수업으로 인정하는 데 우려가 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서울 소재 고등학교 교사 A(32)씨는 이데일리에 “온라인 개학에 대한 세부 지침이 없어 혼란스럽다”며 “플랫폼은 뭘 사용할지 실시간 진행인지, 수업인정은 어떻게 되는 건지 실질적인 운영방안에 대해 정해진 게 없다. 관련해서 학부모 민원도 급증했다”고 토로했습니다.
온라인 개학이 4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온라인 개학의 효과와 부작용 등을 둘러싼 논란은 쉽게 수그러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