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박진환 기자
2025.06.23 05:00:00
이 대통령, 첫 국무회의서 “해수부의 부산 이전 추진” 지시
특구 내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이전 입법 시도까지 속출
충청권 여·야 의원들 모르쇠 일관… 공천 등 정무적 판단만
지역이익 위해 싸우지 않는 선출직공무원은 존재 이유 없어
[세종=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자마자 PK(부산·경남) 챙기기에 나서면서 충청권 정치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그간 충청권은 영·호남과 달리 독자적인 대선 후보나 유력 정당의 대표를 배출할 정도의 정치력은 없지만 모든 선거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했던 지역으로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에게 압도적인 지지를 보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취임 후 첫 국무회의에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신속하게 추진하라”고 지시하는 등 PK에 대한 강한 애정을 숨기지 않고 있다. 이에 여권과 관련 부처 등은 일사불란하게 이 대통령의 강한 의중을 충실히 받들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부산 출신의 한 여권 관계자는 “실질적인 해양 행정 기능을 완전히 복원해서 기능과 역할을 강화한 형태로 해수부 부산 이전이 이뤄져야 하며, 특히 산자부의 조선 기능을 반드시 가져와야 한다”며 해수부+α까지 챙기겠다는 속내를 숨기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현재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핵심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경남 사천으로 이전한다’는 내용을 담은 법안까지 발의됐다. 정권 교체와 함께 수도권의 중앙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을 통한 국가균형발전을 기다려온 충청권 지역민들에게는 청천벽력과 같은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반면 충청권을 지역구로 둔 민주당과 국민의힘 등 여·야 국회의원들은 대부분 ‘모르쇠’로 일관, 지역의 입장을 대변하기보다는 대통령실과 소속 정당의 눈치보기에 여념이 없다. 충청권 국회의원들이 대통령실과 소속 정당의 거수기로 전락한 것은 차기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과 함께 대통령실과 코드를 맞춰야 장관 등 내각에 들어갈 수 있다는 막연한 기대감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