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안정 되찾은 소비자물가, 경기대응에 주력할 때다

by논설 위원
2023.07.05 05:00:00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에 진입했다.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동월 대비 2.7%로 집계됐다고 어제 통계청이 발표했다. 지난 5월(3.3%)과 비교하면 한달 만에 0.6%포인트 낮아졌다. 소비자물가가 이처럼 큰 폭으로 낮아진 것은 국제 원유가 하락에 따라 석유류 값이 1년 전보다 25.7%나 떨어진 것이 주효했다. 서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물가를 반영하는 생활물가지수는 2.3% 상승에 그쳤으며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인 생산자 물가는 4~5월 두 달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소비자물가가 2%대에 진입한 것은 2021년 9월(2.4%) 이후 21개월만이다. 세계 주요국들은 코로나19에 제로(0) 금리로 대응하는 과정에서 심각한 물가폭등을 겪었다. 우리 나라도 마찬가지다. 2021년 10월(3.2%)부터 오르기 시작한 소비자물가는 9개월 만인 2022년 7월 6.3%까지 치솟았으며 올 1월(5.2%)까지도 5%대 고공행진을 지속했다. 그러나 이후 2~3월 4%대, 4~5월 3%대에 이어 지난달에는 2%대까지 낮아졌다. 영국이 지난 5월에 8.7%를 기록했고 미국도 4%대에 머무는 등 물가고를 겪었던 주요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가장 먼저 안정권에 들어선 것이다. 이는 통화당국의 선제적 대응과 통화·재정의 긴밀한 정책협조가 만들어낸 결실이라는 긍정적 평가를 받을 만하다.



소비자물가 안정은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정부와 한국은행이 경기 대응에 나설 수 있는 여력을 갖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올 들어 우리 경제는 극심한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으로 경기가 급속히 얼어붙고 있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 불황으로 기업 연쇄 도산과 문을 닫는 자영업자들이 늘고 불어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는 가계들이 속출하고 있다. 그 결과 은행과 제2금융권의 연체율이 급등하는 등 금융 안정에도 위험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정부와 한은은 그동안 고통스런 초긴축을 통해 물가의 조기 안정을 위해 전력투구했다. 근원물가가 아직도 4%대에 머물고 있는 점이 걸리기는 하나 소비자물가가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하향안정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제는 물가가 안정권에 들어선 만큼 정책의 중심추를 물가에서 경기 대응으로 옮겨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