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최한나 기자
2011.01.17 06:51:57
[이데일리 최한나 기자] 누가 뭐라 해도 요즘 대세는 물가다. 안팎의 관심이 온통 물가에 쏠려있다.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가 출동했다. 태국과 우리나라가 각각 정책금리를 올린데 이어 중국이 올들어 처음으로 지급준비율 인상을 단행했다. 각국 시장금리도 덩달아 오름세다.
소비자 입장에서 물가는 `공공의 적`이다. 지금까지는 빵을 두 개 살 수 있던 돈으로 하나밖에 살 수 없게 만드는 게 인플레다. 가만히 있어도 자산가치가 뚝뚝 떨어진다. 원망스러운 존재다.
투자 측면에서는 좀 다르다. 개인이든 기업이든 현금 보유 욕구가 급격히 위축된다. 특히 기업으로서는 돈 값이 더 떨어지기 전에 실물자산에 대한 투자를 늘릴 만한 유인이 된다. 이는 경기가 자발적 회생을 시도하고 있는 지금 꼭 필요한 요인이다. 인플레가 그리 나쁜 것만은 아니라는 얘기다.
관건은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한 긴축이 성장을 해칠 것이냐 아니냐 하는 것이다.
물가가 오르는 그 자체는 경기 상승과 맞물려 나타나는 현상 혹은 경기 상승을 재촉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물가가 너무 올라 소비심리를 꺾어놓는다든지, 인플레를 막기 위한 정책적 조치가 이제 막 숨쉬기 시작한 경기의 숨통을 끊어버리는 일이 발생하는 게 문제다. 결국 소비와 투자를 모두 살리는 그 어느 지점에서 물가와 금리가 균형을 잡도록 해야하는 셈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직 긴축으로 보기 어렵다. 지난 주 금리 인상은 확실히 기습적이었다. 금융시장 참여자 10명 중 9명이 동결을 전망했다. 인상 소식에 모두가 깜짝 놀랐다.
하지만 시기가 문제였을 뿐, 금리는 언제 올라도 오를 변수였다. 오랜 기간 비정상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렀고 정상화 시점을 저울질해왔다. 작년 하반기 이후 세 차례 금리 인상이 있었지만, 아직도 금리는 갈 길이 멀다.
중국 지준율은 사상 최고 수준이다. 작년 한해에만 여섯 차례에 걸쳐 지준율을 올린 중국은 작년 말 여진이 가시기도 전에 또 다시 인상을 단행했다.
중국의 경우 확실히 긴축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긴축적 조치가 경제 성장을 해칠 것인가 하는 점인데, 여러 차례의 지준율 및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올해 10% 안팎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압도적이다.
오히려 지나친 과열을 막기 위해 점진적인 긴축이 계속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안정적 성장을 위한 속도 조절이다.
원칙적으로 물가와 금리는 낮은 편이 주가에 이롭다. 물가가 뛰고 금리가 오르면서 증시가 예민해지기 쉽다. 하지만 반대로 물가와 금리가 서로를 견제하면서 적절한 수준에서 유지된다면 그보다 좋은 여건도 없다. 오름세 자체보다는 어느 지점에서 균형을 맞춰가느냐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