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20년뒤 '청년·고학력자 인력난' 겪을 산업은

by공지유 기자
2023.07.20 05:00:00

기재부, '산업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연구용역
연령·학력 반영해 산업별 '노동공급 충격' 점검
"어떤 유형 인력 부족한지 전망해 적절한 대응해야"

[세종=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정부가 청년 세대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일손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향후 20년간 중장기 인력수급을 전망한다. 단순히 취업자 수만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별로 학력과 연령을 반영해 어느 산업에 젊은층과 고학력자가 가장 많이 감소하는지 등 ‘쏠림 현상’을 점검해 맞춤형 정책을 마련한다는 복안이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19일 이데일리 취재를 종합하면, 기획재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산업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연구용역’을 최근 발주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별 인력수급 문제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고 축소사회 대응 등 인구 문제 대응에 정책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미래 노동시장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기 위한 10년 단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은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이 격년 단위로 발표하고 있다. 중장기 인력수급전망을 발표한 뒤, 이듬해 수정 전망을 내놓는 식이다. 중장기 인력수급전망에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직업별 취업자의 총량적인 수급 전망 등이 포함된다.

정부는 이같은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에 학력·연령 등 인구구조 변화 요인을 반영해 더 넓은 시각으로 인력난 문제를 살펴 보려는 계획이다. 단순히 총량만 전망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 어느 산업에서 고학력 또는 젊은 인력이 줄어드는지를 세세하게 살펴보겠다는 것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기존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면서 “정태적 요소뿐 아니라 다른 인구구조 고려 요인을 추가해 수급 예측을 해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서울대 산학협력단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연구용역을 수주해 연령별·학력별 취업인력 규모를 추정하는 내용의 ‘2021년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인구변화의 노동·교육·의료부문 파급효과 전망’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서 2040년까지 경영·회계 관련 사무직(-37만7614명)에서 20~34세 청년 취업자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고학력 청년들의 취업 감소폭이 전반적으로 컸다. 반면 고령화로 인해 대부분의 직종에서 55~74세 취업인력이 크게 늘 것으로 예측했다.

정부는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통해 젊은 고학력 인력이 급감하거나 고령화가 심화하는 산업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핀셋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인구절벽’ 시대에 태어난 세대들이 사회생활에 진입하는 단계에 산업별로 어떤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어떤 산업군이 취약한지 미리 파악할 수 있다면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도 한결 수월할 것으로 보는 것이다. 출생아 수는 2020년 30만명 밑으로 떨어진 뒤 매년 급감하고 있다.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같은 노동 인력이어도 나이와 학력, 업종, 직군 등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인력이고, 서로 대체 불가능하다”면서 “단순히 인력이 몇 명 부족하다는 것보다는 어떤 부문에서 어떤 유형의 인력이 부족할 지를 선제적으로 파악해야 인력 수급에 대해 맞춤형 대응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인구정책 범부처 협의체인 ‘인구정책기획단’ 내 경제활동인구 확충 및 축소사회 대응 등 과제에서 이같은 연구내용을 반영해 정책적으로 활용하고, 필요시 고용부의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개편에도 반영할 계획이다.

13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 부산 여성 취·창업 박람회’에 구직자와 예비 창업자들이 붐비고 있다.(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