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서 오방색으로…내 금강산도 남북관계 닮더라"

by오현주 기자
2018.09.17 00:12:01

금강산 빠져 25년…10여회 방문 매진
정주영 전 회장 '소떼방북' 덕 첫 유람
4·27 남북정상회담에 건 '상팔담' 주목
금산갤러리서 '금강12경' 개인전 열고
만물상·비로봉 등 열두달 사계절 담아
"금강산 기운, 한반도 평화 가져오길"

작가 신장식이 자신의 작품 ‘금강산 만물상의 빛’(2018) 곁에 섰다. 가로 291㎝ 세로 112㎝ 규모인 작품은 만폭동·옥류동과 함께 금강산의 3대 절경으로 꼽힌다는 만물상의 비상하는 산세를 그렸다. 산형에 드리운 명암이 푸른색과 초록색의 절묘한 조화로 표현됐다. 작가는 “남북관계의 희망을 본 덕에 그림에 맑고 밝은 빛이 비친다”고 말한다(사진=방인권 기자).


[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푸르디푸르러 창백한 보랏빛을 띤 뾰족한 봉우리들이 일제히 솟구친다. 저 멀리 운무에 가린 산세는 아득하기만 한데, 뭉실한 소나무 군락은 내민 손에 잡힐 듯 가깝다. 꿈같이 아스라하면서도 지극히 현실적인 풍경. 그래, 이곳이 금강산이구나.

그날, 이 그림은 유난히 빛났다. 17년간 어두운 작업실 창고에 묻혀 있다가 비로소 세상에 나와 받은 첫 조명은 너무 강렬했다. 이 그림을 배경으로 남북 두 정상이 나란히 서서 호쾌한 웃음을 날렸고, 이 그림을 배경으로 마주 앉아 ‘평양냉면’ 얘기부터 꺼냈으니.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 때 판문점 평화의집 회담장에 건 가로 681㎝ 세로 181㎝의 대작.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2001) 얘기다.

작가 신장식(59·국민대 교수)을 최근 만났다. 얼추 다섯 달. 롤러코스터를 탄 그간의 정국에 이젠 좀 무뎌졌을 법도 한데, 신 작가는 여전히 감격스럽단다. “남북 두 정상이 나란히 서고 앉은 그곳에 걸린 그림 덕에 희망을 찾았다”고 말한다. 금강산 비로봉 동쪽 구룡대 아래. 화강암으로 된 계곡에는 크고 작은 못들이 층층이 들어서 있다는데. ‘상팔담’은 그중 가장 큰 못 여덟 개. 그림은 바로 그 지점에서 마주한 금강산 전경이다.

‘누구의 주제련가 맑고 고운 산….’ 수수만년을 지켜왔다는 금강산으로 향하는 길을 이제 알려주려나.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은 아직 판문점 평화의집 그 자리에 걸려 있다.

4·27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판문점 평화의집 회담장에 건 작가 신장식의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2001).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그림을 배경으로 환하게 웃고 있다(사진=이데일리DB).


△“마지막으로 넘는 아리랑고개가 금강산”

25년간 금강산에만 빠져 살았다. 붓 잡고 바로 시작한 그림은 아니었다. 출발은 아리랑이라 했다. 서울대 회화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얼마 뒤, 1988 서울올림픽에서 개·폐회식 미술조감독을 맡으며 ‘청사초롱’ 퍼포먼스를 디자인한 게 계기였다. 그 장면을 제작한 판화로 이듬해 대한민국 미술대전에서 대상까지 받자 이런 생각이 들었단다. “청사초롱도 현대미술에서 먹히는구나.” 민속적 소재를 풀어내는 일은 이후 그의 과업이 됐다. 그러던 중 발굴한 것이 아리랑이고, 그 조형언어가 금강산이었던 거다. “한반도에서 가장 큰 문제가 분단이고 가장 큰 고개는 휴전선이 아닌가. 난 그 휴전선을 마지막으로 넘는 아리랑고개가 금강산이라고 생각한다. 아리랑고개를 넘어서려는 민족의 의지, 생동감까지 제대로 얘기해보자고 마음먹었다.”

신장식의 ‘9월 내금강의 빛’(2018). 기본적으로는 오방색을 쓴다고 했다. 3태극색인 빨강·파랑·노랑 위에 흰색과 검정을 기조로 그린단다. “푸른빛이 강해지면 겨울이고, 붉고 노란빛이 강해지면 가을”이라고 했다(사진=금산갤러리).


본격적으로 금강산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 조선 순종이 집무실에 두고 싶다고 해강 김규진에게 요청해 그렸다는 ‘금강산총석정절경도’를 비롯해 수많은 금강산 그림에 몰두한 건 물론이고 각종 고문헌자료까지 섭렵했다. 그렇게 2년 남짓, 1993년 금강산 그림으로 개인전을 열었다. 하지만 아쉬움이 컸다. 눈으로 발로 보지 않은 그림은 ‘관념산수’에 가까웠던 터.



그런 그에게 금강산을 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1998년 정주영 전 현대그룹 회장의 소떼방북 덕에 열린 금강산 유람에 나선 거다. 이후 2008년 관광길이 다시 닫힐 때까지 10년간 계절별로 10여 차례 금강산을 다녀왔다. 관념산수가 점차 ‘실경산수’로 변해갔다.

△관념산수가 실경산수로 변하기까지

‘금강산 화가’가 된 이래 개인전만 20여 차례. 최근 여기에 한 회를 더 보탰다. 서울 중구 소공로 금산갤러리에 펼친 ‘금강 12경’ 전(28일까지)이다. 비로봉·내금강·만물상·옥류동 등 열두 달별로 색과 모양을 달리한 금강산을 들여다본 신작 25점을 걸었다. 계절이 무색한 작품도 눈에 띈다. 만물상이 머금은 짙은 녹음을 뽑아낸 가로 291㎝의 ‘금강산 만물상의 빛’(2018), 눈 덮인 겨울을 역시 같은 크기로 그린 ‘개골산 비로봉’(2018). 여기에 금강산에서 본 백두대간, 백두대간서 본 금강산을 나란히 걸어 의미를 찾은 ‘백두대간의 겨울’(2018)과 ‘백두대간 금강산’(2018)까지.

신장식의 ‘12월 금강산 온정리’(2018). 작가의 금강산 그림에는 색종이인 듯, 꽃가루인 듯, 요즘 들어 연하게 흩뿌린 노랗고 붉은 점이 도드라진다. “동양적인 기운과 생동감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라고 작가는 설명한다(사진=금산갤러리).


25년 금강산이 어찌 늘 한결같을 수 있겠나. 반추상의 산형이 구상으로 구체화해 갔고, 날카롭던 지형에도 부드러운 질감이 얹혔다. “그림은 변해가는 거다. 아무래도 남북관계의 희망을 빛을 봤으니 이번 ‘금강 12경’에서는 맑고 밝은 빛이 비쳤을 거다. 우울하게 그린 적도 있다. 몇 년 전인가. 회색조의 금강산을 줄창 그리고 있더라.” 예전과는 다른 화법도 보인다. “기본적으로 오방색이다. 3태극색인 빨강·파랑·노랑 위에 흰색과 검정을 기조로 그린다. 푸른빛이 강해지면 겨울이고, 붉고 노란빛이 강해지면 가을이다.” 그런데 여기에 요즘 들어 연하게 흩뿌린 노랗고 붉은 점이 도드라진 거다. 색종이인 듯, 꽃가루인 듯. “회화적 효과를 낸 자연스러운 기운이다. 동양적인 생동감을 표현하고자 했다.” 그럴 거다. 물감만 겹겹이 발라냈다면 여느 산 풍경과 다르지 않았을 터. 서양화의 도구로 동양화의 정서를 그리는 이 작가의 붓끝엔 금강산의 의미를 아는 우리에게만 전해지는 감성이 묻어 있다.

△평화의집 지키고 있는 ‘상팔담’…“무료 임대 중”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이 판문점으로 간다는 건 4·27 남북정상회담 2주 전쯤 알았단다. 국정원에서 연락을 받았다. “평화의집에 걸려고 하니 빌려달라고 하더라. 그런데 누가 사기를 치는지 믿을 수가 있어야지. 그래서 계약서를 쓰라고 했다.” 며칠 뒤 진짜 국정원에서 찾아왔더란다. 그러곤 계약서를 쓰고 그림을 가져갔다. 2주간 임대하는 조건이었다. “로비쯤에 걸릴 거라고 생각했다. 회담장에 걸린 건 나도 뉴스를 보고서야 알았다.”

작가 신장식이 ‘백두대간의 겨울’(2018)과 ‘백두대간의 금강산’(2018) 사이에 섰다. 금강산에서 본 백두대간, 백두대간서 본 금강산 전경이다(사진=방인권 기자).


회담이 끝난 뒤 그림은 어찌 됐을까. “국정원에서 다시 연락이 왔다. 북미정상회담이 판문점서 또 열릴 수도 있으니 좀 더 빌리자고. 그런데 돈이 없다고 하더라. 그래서 연말까지 그냥 빌려주겠다고 했다.” 껄껄 호쾌하게 웃어젖히는 신 작가의 표정에는 작품에 대한 자부심,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이 묘하게 겹쳐 스친다.

“금강산의 기운이 한반도의 평화를 가져오길 바란다. 한반도의 등줄기는 백두대간이고, 백두대간의 꽃은 금강산이 아니던가.” 그 바람을 탔을까. 남북정상회담이 다시 열린다. 이번 장소는 평양이라니 신 작가의 그림을 한번 더 보긴 어렵게 됐다. 하지만 그이의 금강산은 정말 마지막 아리랑고개가 될 모양이다. 남쪽 일행이 결국 판문점에 걸린 그림을 넘어 북쪽으로 향한다고 하질 않은가. 금강산이 저만치 다가왔다.

신장식의 ‘상팔담에서 본 금강산’(2001) 전체.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 때 판문점 평화의집 회담장에 걸려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가로 681㎝ 세로 181㎝의 대작이다. 지금도 판문점 평화의집 그 자리에 걸려 있다(사진=이데일리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