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ESG 모범생 SK하이닉스, 준법 관리 고도화 추진한다
by이건엄 기자
2024.10.11 06:40:37
사내 준법 관리 시스템 통합 작업 진행
이사회서 관련 안건 주기적으로 보고
기술 유출 비롯한 리스크 대응력 제고 기대
ESG 채권 관리 등 크레딧 측면서도 긍정적
[이데일리 마켓in 이건엄 기자] SK하이닉스(000660)가 사내 준법 관리 시스템 고도화 작업에 착수했다. 기술 유출 등 반도체 업계에서 발생하는 사법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대외 신뢰성 확보를 통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가치 구현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SK하이닉스가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준법 경영 구축에 심혈을 기울여 왔던 만큼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경쟁력 제고에 나설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준법 관리 시스템(Compliance Management System) 통합 작업을 진행 중이다. 각 사업부 별로 나눠진 준법 감시 기능을 통합하고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현재 SK하이닉스 이사회는 준법 관리 시스템 고도화와 관련해 안건을 정기적으로 보고 받고 있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사내 각 조직에 분산돼 있는 컴플라이언스(준법) 기능을 통합하기 위한 조치”라며 “진행 중인 사안과 관련해선 구체적 언급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SK하이닉스가 준법 시스템 고도화에 나서면서 기업 가치 제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스템 통합으로 체계적인 규제 준수 및 내부 통제가 가능해지면서 리스크 위반 가능성은 감소하고 투명성은 강화될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최근 사회적 문제로도 떠오른 반도체업계의 기술 유출 대응 측면에서도 준법 시스템 고도화 작업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 업계에서 준법 관리 시스템은 규제 준수를 넘어 핵심 자산인 기술 보호와 생존에 직결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통합된 준법 관리 시스템은 직원의 보안 교육, 접근 권한 관리, 내부 감사를 통해 정보 유출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이는 기업의 정보 보호 및 기술 유출 방지를 예방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퇴직 임원의 기술 유출로 곤혹을 치른 삼성전자(005930)가 임직원의 준법정신 함양을 강조하는 등 관련 교육 강화에 나선 것도 이같은 배경이 작용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사업부별로 따로 관리하던 준법 시스템이 통합되면서 효과적인 리스크 대응이 가능하다”며 “이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에게 더 신뢰할 수 있는 거버넌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법적 분쟁과 정부 제재로 이어질 수 있는 기술 유출 문제 역시 준법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일정 부분 예방이 가능하다”며 “이같은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대응하면 평판 유지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미 SK하이닉스는 국제 법규 및 규제의 준수가 특정 단일 부서의 활동만으로는 달성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전사 차원의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해 글로벌 컴플라이언스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SK하이닉스 글로벌 컴플라이언스 협의체는 준법지원인인 지속경영 담당 임원을 의장으로 논의 안건에 따라 유관 부서의 담당 임원과 실무 책임자가 배석한다.
지난해에는 반도체업계 최초로 준법 및 부패 관련 인증을 동시에 획득하며 많은 관심을 받은 바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영국표준협회(BSI)로부터 준법 경영표준(ISO37301)과 부패방지 경영표준(ISO 37001) 인증을 획득했다.
신용평가 업계에서는 SK하이닉스의 준법 경영 강화가 크레딧(Credit) 관점에서도 상당한 이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한 ESG 채권의 관리와 기업 자체 ESG 평가에 준법 관리 시스템이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 SK하이닉스는 지난해 1월 10억 달러(한화 약 1조2000억원) 규모의 지속가능연계채권(Sustainability-Linked Bond, SLB)을 발행한 바 있다.
한 신용평가사 ESG 담당은 “고도화된 준법 관리 시스템은 발행된 ESG 채권이 원래의 목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며 “기업 크레딧 측면에서도 준법 시스템이 지식재산권 및 기술 유출 등 리스크를 줄여줘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