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기정 전놀협 회장 “서울형 키즈카페, 민간과 충돌 불가피"

by강경록 기자
2022.11.04 00:00:01

양기정 전국어린이놀이시설협의회 회장 인터뷰
1만 9000개 업체 중 코로나로 4900여개만 남아
오세훈 시장, 서울에 60개 서울형 키즈카페 구축
서울형 키즈카페, 민간 재산권 심각하게 침해
양 회장 "민간 업체와 상생방안 찾아야"

양기정 전국어린이놀이시설협회 회장(사진=강경록 기자)


[이데일리 강경록 기자] “서울형(공공형) 키즈카페보다는 민간과 상생할 수 있는 바우처(상품권) 사업이나 국립형 키즈카페 지정으로 가야 한다.”

양기정 전국어린이놀이시설협회(이하 전놀협) 회장은 최근 인천 송도에서 이데일리와 가진 인터뷰에서 이 같이 강조했다. 어린이 놀이시설업은 신생업종이다. 어린이에게 유상으로 장난감이나 놀이기구, 공간을 대여하는 모든 업이 속한다. 요즘 새로 생긴 공간대여업을 포함해 키즈카페, 물감놀이교실, 촉감놀이교실 등도 마찬가지다.

전놀협은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 문화를 선도하는 비영리 단체로 지난 2월 설립했다. 전국의 어린이 놀이시설업은 4900개 중 약 10%인 400여개 업체가 협회원으로 등록돼 있다.

양 회장은 “코로나19 범유행 이전에는 1만 9000개의 놀이시설업이 성행했지만 지난 3년간 대부분의 업체가 폐업했다”면서 “어린이 놀이시설업도 식당이나 학원처럼 코로나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다른 업종과 달리 지원을 거의 받지 못했다”고 하소연했다. 이런 불공평이 지금의 협회를 만든 계기라는 것이 양 회장의 설명이다.



엔데믹 상황에서도 양 회장은 “여전히 놀이시설업은 위기”라고 우려했다. 정부와 지자체가 공공형 키즈카페(실내 놀이시설)를 도입하고 있어서다. 서울시의 ‘서울형 키즈카페’가 대표적이다. 오세훈표 대표 보육정책인 서울형 키즈카페는 서울시가 아이들의 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만든 공공형 실내놀이터다. 놀이는 물론 긴급 돌봄까지 가능하다. 서울시는 서울 시내에 서울형키즈카페 60여개를 만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양기정 전국어린이놀이시설협의회 회장(사진=강경록 기자)
문제는 서울시의 이 계획이 민간 기업의 재산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는 점이다. 이에 전놀협은 서울시가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 경제를 해친다며 상생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양 회장은 “서울시가 60여개의 서울형 키즈카페를 추진한다는데 그 수가 절대 적지 않다”면서 “민간 키즈카페의 영업에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서울시 측은 ‘시장 영향이 미미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어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양 회장은 “서울시가 서울형 키즈카페의 규모를 300㎡(약 70~80평) 미만으로만 짓고 공청회도 매달 한 두번씩 열겠다고 약속했지만, 이후 공청회가 열린 적은 없다”고 아쉬워했다.

이에 협회는 서울시와 정부에 두가지 상생 방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는 공공형 키즈카페보다는 바우처를 발행해 저소득층 아이들도 일반 키즈카페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고, 또 하나는 민간 업체 중 국립형 키즈카페를 지정하자는 것이다. 양 회장은 “굳이 정부나 지자체가 수백억원의 예산을 들여 공공형 키즈카페를 짓지 않아도 되고, 매년 들어가는 운영비용도 줄일 수 있다”며 “또 일정 조건을 취득한 민간 키즈카페를 국립형 키즈카페로 지정한다면, 취약 계층의 어린이들도 무료나 소액으로 이용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