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김보리 기자
2014.08.12 06:00:00
담당 부서 만들어 대응 나서지만 역부족
개인 간 거래 불만에 허위신고 늘어 ''한숨''
[이데일리 김보리 기자] 금융기관을 사칭한 문자메시지나 가짜 홈페이지 등 금융사고로 금융기관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휴대전화 문자서비스, 전화번호 도용에 이어 가짜 홈페이지까지 날로 진화하는 금융사기 앞에서 은행들이 진땀을 흘리고 있다. 은행들은 앞다퉈서 보안시스템을 강화하고 있지만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형세로 금융사기가 날로 첨단화하고 있다.
금융사기 종류만 해도 가장 많은 사기 수법인 보이스피싱, PC를 감염시키는 파밍, 친구인 척 다가오는 메신저피싱, 문자 클릭을 유도하는 스미싱, 대출 수수료를 가로채는 대출빙자사기 등 종류도 다양하다. 금융기관에서 홈페이지에 피해방지를 고지하거나 전화번호 도용 방지 등 예방책을 쓰더라도 날로 진화하는 사기수법 앞에서 속수무책인 셈이다. 금융기관은 고객이 신고한 사기 사건에 대해 경고장 발송, 고소, 고발 등 법적 대응도 불사할만큼 강력하게 대응하고 있지만 피해 신고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은행들이 금융사기를 막기 위해 전화번호 도용 방지, FDS 구축 등 적극적인 활동에 나서고 있지만 날로 진화하는 금융사기수법을 당해 나기에는 역부족이다. 은행들은 고객정보보호본부를 신설해, 해커 잡는 해커로 화이트해커를 고용하는 등 금융사기피해에 만전을 기하고 있지만 모든 금융사기 가능성을 차단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최근에는 실시간 채팅 창을 통해 자동응답(ARS) 인증을 요구하는 신종 전자금융 사기 수법까지 등장하는 등 아무리 예방을 한다지만 사실상 모든 금융사고 가능성을 차단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예방 시스템을 그나마 얼마나 촘촘히 할 수 있을지가 현재로선 최선책”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사기를 빙자한 허위 신고 때문에 은행들의 말 못 할 고민도 늘고 있다. 하루에 수백 건의 금융사기 건수가 접수되는데 그 중 상당수는 개인 간 거래에 대한 불만을 금융사기로 허위 신고하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시중 은행 한 관계자는 “금융피해 사건을 하나하나 직접 조사하기 전에는 허위 신고인지 여부를 알 수 없어 불필요한 인적·시간적 낭비가 심각하다”며 “대다수의 경우가 중고 물품 거래 등 개인 간의 거래를 금융사고로 신고하는 건 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