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지현 기자
2023.06.12 03:15:25
①김태정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 인터뷰
국내 사망원인 4위 뇌졸중…초고령화 상황 환자↑
위험도 인식↓ 치료 의사도 고령화 …시스템 개선必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대한민국의 인구문제는 저출산 고령화다. 출생아가 줄고 사망자가 감소하며 국민 평균 나이가 6년 사이 40.8세(2015년)에서 43.5세(2021년)로 2.7세 늘었다. 정부는 지난 16년간 280조원을 저출산상황 타개를 위해 쏟아부었다. 하지만 아래로 향하는 출산율 방향을 돌려놓지 못했다. 그러는 사이 고령화 문제는 차일피일 미뤄졌고 인구 5명 중 1명이 노인인 사회가 성큼 다가왔다.
11일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현재 전체 인구 5155만명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8.4%(949만명)에 이른다.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구분하는데 대한민국은 2025년에 65세 인구가 20.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초고령사회 진입이 채 2년도 남지 않은 것이다.
고령화에 따른 가장 문제는 아픈 이들이 더 많아진다는 점이다. 최근 한 보고서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가 전체 진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44%에서 2050년 74%로 늘 것으로 추산됐다.
하지만 의료시스템은 현재도 급급하게 돌아가고 있다. 치료할 의사가 없어 환자를 더 받지 못하겠다고 내걸거나 환자를 돌려보내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소방청의 119구급서비스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재이송된 사례는 7634건에 이른다. 재이송 사유를 보면 ‘전문의 부재’가 2417건, ‘병상 부족’ 1279건 등이었다. 이 외에도 의료장비 고장이나 환자의 변심 등도 있다.
의료 현장에서는 현재 응급실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가 초고령화 사회에선 의료현장 전반에서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김태정 서울대병원 교수(대한뇌졸중학회 홍보이사)는 “신경과의 경우 고령화와 직결된 과”라며 “나이 들수록 뇌졸중 위험이 커지는데, 이를 담당하는 의사들도 늙어가고 있다. 젊은 의사들이 올 수 있도록 의사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신경과에서 주로 다루는 뇌졸중은 국내 사망원인 4위의 질환이다.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뇌 조직이 손상되는 것으로 연간 10만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한다. 고령화가 빨라지면서 관련 환자는 더 늘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뇌졸중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골든타임 내 치료다. 이 시간은 3시간 이내로 알려졌다. 하지만, 뇌졸중 환자 중 3시간 이내에 병원을 찾는 경우는 36% 정도에 그친다는 게 뇌졸중학회의 분석이다.
병원 방문이 늦어지는 가장 큰 이유로는 평소 뇌졸중 증상을 잘 몰라 이상 증상이 발생했는데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점이 꼽히지만, 필수 중증 환자의 이송·전원과 관련된 국가 응급의료체계에도 문제가 크다고 학회는 보고 있다. 김태정 교수는 “의료시설이 취약한 강원이나 호남의 경우 뇌졸중 발생 시 제대로 치료 받지 못하는 경우가 40%로 전국 평균(20%)보다 높다”고 부연했다.
이같은 상황의 가장 큰 원인은 치료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부재다. 올해 신경과전문의 시험합격자 83명 중 5명만 뇌졸중 전임의로 지원했다. 현재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4개 중 1개 센터에만 전임의가 근무하고 있고 전공의 없이 교수가 당직을 서는 대학병원이나 수련병원이 늘고 있다. 김 교수는 “지금의 추세라면 5~10년 후 연간 10만 명의 뇌졸중 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뇌졸중 전문의 수는 절대적으로 부족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