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이순용 기자
2022.06.19 07:40:26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간은 재생능력이 뛰어나지만, 손상 원인에 지속해서 노출되면 만성 염증이 생기고 정상 조직의 섬유화가 진행된다. 섬유화 조직이 많아지면 간의 재생능력에 문제가 발생하고 기능이 저하되는데, 이를 ‘간경변증’이라고 부른다.
간경변증이 진행되면 황달과 어깨·등·가슴에 거미 다리 모양의 모세혈관 확장, 유난히 붉은 손바닥 등이 관찰될 수 있다. 남성은 유방이 여성처럼 커지거나 고환이 작아질 수 있으며, 여성은 월경이 불규칙해지기도 한다. 간경변증이 심해지면 간으로 가는 혈관 내 압력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한다. 복수가 차는 복부 팽만, 정맥류 출혈로 인한 토혈, 혈변, 흑색변 등이 생기거나, 의식이 나빠지는 간성뇌증이 발생할 수 있다.
무엇보다 간경변증은 간암의 주요 위험 인자이므로 적극적인 예방과 치료가 필요하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화기내과 김영석 교수는 “간암 환자의 75~85%는 간경변증이 기저질환이라는 보고가 있다. 간암 외에도 복수, 부종, 위·식도 정맥류 발생 및 출혈, 간성뇌증 등 관련 합병증이 나타나면 환자의 예후가 매우 불량해지므로 간경변증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간경변증은 만성간염이 주원인이다. 하지만 간염 국가 예방접종 지원사업과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로 최근에는 간염에 의한 환자는 줄고, 음주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에 의한 환자가 느는 추세다.
진단은 초음파, CT, MRI 등 영상 검사를 통해 간의 구조적 변화를 확인한다. 최근에는 간 섬유화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간 섬유화 스캔 검사’가 널리 이용된다. 또, 필요에 따라 특수 혈액검사 등을 추가하여 종합적으로 진단한다.
김영석 교수는 “간경변증이 한번 진행되면 정상 간 상태로 완전히 회복되기 어렵고, 간암 발병 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원인 질환을 조기에 관리해 추가적인 간 기능 손상 및 합병증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간경변증을 예방하려면 ▲B형 간염 예방접종 및 B·C형 간염 항바이러스제 치료, ▲금주, ▲체중 및 혈당 관리, ▲민간요법 및 건강식품 등 식약품 오남용 금지 등을 통해 간 기능의 추가 손상을 줄여야 한다. 또 복수, 정맥류, 간성뇌증 등 합병증 관리를 위해 ▲저염식 식사, ▲이뇨제 투여, ▲위장관 내시경 치료 등을 시행한다. 이러한 노력에도 합병증 관리가 잘되지 않으면 간 이식 수술이 필요하다.
김영석 교수는 “간은 ‘침묵의 장기’로 피로감, 전신 쇠약, 식욕 감퇴, 메스꺼움, 구토, 소화불량, 복부 불쾌감 등 일반적인 간질환 증상은 소화기질환 증상과 구분이 어려워 간경변증의 조기 진단이 어렵다. 황달, 모세혈관 확장, 복수 등의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간경변증이 이미 상당히 진행된 상태이므로 만성간염이나 대사질환 환자 등 고위험군은 반드시 정기적으로 간 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