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오르는데 '영끌' 2030 대출 증가..한은 "금융리스크 확대` 경고

by최정희 기자
2021.03.12 00:00:00

3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 발표
2030세대, 작년 주택 매매의 3분의 1 차지
"30대 이하 대출의존도 높아..가계대출 증가 압력 지속"
주택 가격 상승·대출 증가 상승작용..''금융불균형'' 누적

[이데일리 최정희 이윤화 기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빚투(빚을 내 투자)’ 등 대출 의존도가 높은 20대, 30대가 주택거래 시장의 주요 축으로 떠오르면서 가계 대출 증가 압력이 커지고 있다고 한국은행이 경고했다.

코로나19에 경기는 완만하게 회복세를 보이는데 주택 가격이 오르고 빚도 빠르게 증가하면서 ‘금융불균형’이 커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경기 회복 기대와 국채 발행 물량 증가에 시장 금리 상승이 대출 금리 오름세를 자극, 빚폭탄이 경제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은은 분기마다 발간하는 3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대출의존도가 높은 30대 이하 주택 매매 거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점이 주택 관련 대출을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가계대출이 당분간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30세대의 주택매매 비중은 2018년 1분기까지만 해도 29.1%에 불과했으나 작년 3분기 34.3%를 차지했다. 40대(29.7%), 50대(18.2%), 60대(16.6%)의 매매 비중을 넘어섰다. 이들 대부분은 사회초년생이기 때문에 주택 매수에 들어가는 돈의 상당 부분을 대출에 의존하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작년 1~9월까지 주택구입 자금 중 금융기관 차입 비중은 30대 29.1%, 20대 26.1%로 40대(22.0%), 50대(16.7%), 60대 이상(9.2%)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한은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003조1000억원으로 한 달 전(996조4000억원)보다 6조7000억원 늘어나면서 1000조원대에 진입했다.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9조5000억원 증가, 1년 전보다 8.5% 증가했다. 2004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이사철로 주택담보대출이 7조7000억원이나 늘어났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도 1조8000억원 증가했다.

한은은 “최근 주택 거래 현황, 코로나19 관련 자금 수요, 개인의 주식 투자 차입수요 증가세 등을 고려해 가계 대출 증가 압력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작년 금리는 낮은 상황에서 주택, 주식 가격 상승이 대출 증가를 불러일으키며 ‘영끌·빚투’족이 늘어났다. 짧게 보면 주택, 주식이 오르면서 이들은 투자에 성공한 듯 보였다. 한은에 따르면 주식은 작년 12월말(3월말 대비) 63.8%나 올랐고 주택가격은 작년 3분기 9.3%(전년 4분기 대비) 올랐다. 주택 가격은 신규 아파트 공급 축소(서울 입주물량 작년 4만9100호→올해 2만9700호로 감소 추정), 가격 상승 기대에 따른 매물 감소, 전세의 매매 수요 전환 때문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대출 규제가 적고 세금 부담도 크지 않은 수도권 중저가 주택의 매매 가격의 상승폭이 커진 것도 특징이다.

그러나 올 들어선 금리가 오르고 있는 환경이라 이런 상황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 국채 10년물 금리는 작년 8월 이후 꾸준히 올라 11일(2.036%)로 작년 7월말보다 0.74%포인트 상승했다. 백신 보급, 부양책 등 경기회복 기대에 따른 미국 국채금리 상승, 4차 재난지원금 지급 등 약 186조원 규모의 국채 발행에 따른 영향이다. 이에 예금은행의 가계 대출 가중평균 금리는 1월 2.83%로 이 기간 0.21%포인트 상승했다.

그런데도 올 2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 매매 가격이 전월보다 0.89% 오르는 등 가격 상승이 지속되고 이에 따라 가계대출도 늘어나니 빚투에 대한 위험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한은은 “최근 주택 가격 상승은 민간 부채 증가와 밀접하게 연계돼 있어 향후 금융시스템과 거시경제에 대한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주택 가격이 오르면 이를 매수할 때 빚을 내야 하는 규모도 증가, 양쪽 모두 상승 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은은 또한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자산 상승이 지속될 경우 자산불평등, 금융불균형이 심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향후 통화정책 운용시 금융불균형 위험이 누적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