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팟 터진 K바이오 플랜트]④녹십자·SK바이오사이언스, 플랜트 수출로 폭풍성장 목전

by김진수 기자
2023.07.07 08:55:24

혈액제제 수입 100% 인도네시아,984억원 규모 점령에 확대도 기대
국내 시장 벗어나 글로벌로 향하는 SK바사, 연중 꾸준한 매출 가능성

[이데일리 김진수 기자] GC녹십자(006280), SK플라즈마,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등이 ‘바이오 플랜트 수출’을 발판으로 ‘퀀텀 점프(대도약)’를 이뤄낼 전망이다.

GC녹십자는 혈액제제에 이어 백신까지 플랜트를 확장하는 경우 더 빠른 속도로 덩치를 키울 것으로 예상된다. SK는 SK플라즈마의 혈액제제, SK바이오사이언스의 백신이 쌍두마차가 돼 그룹내 제약바이오 산업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GC녹십자 오창공장 (사진=GC녹십자)
CG녹십자의 인도네시아 혈액제제 플랜트는 성장에 가속을 붙여줄 전망이다. 녹십자는 2015년 처음으로 매출액 1조원을 넘긴 뒤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매출이 1조7113억원까지 늘었다. 증권업계에서 예상한 올해 매출액은 1조7443억원이며 2024년 1조8386억원, 2025년 1조9499억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내년 또는 내후년부터 인도네시아 플랜트 기술수출 금액이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하는 경우 연 매출 2조원은 손쉽게 넘어설 것으로 기대된다. 아직 구체적인 계약 규모 등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GC녹십자가 10년 전 태국에 20만ℓ규모 혈액제제 플랜트를 수출할 당시 수주한 금액이 6848만달러(약 760억원) 규모였으며 올해 인도네시아에 함께 진출하는 SK플라즈마가 3000억원 규모로 계약을 체결한 만큼 업계에서는 이번 인도네시아 플랜트 수출 규모를 2500억원 안팎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태국과 계약할 당시 GC녹십자는 10년간 매출액의 5%에 해당하는 별도의 런닝로열티 계약을 추가로 체결하면서 장기적인 수익까지 확보했는데, 이번 인도네시아와 계약에서도 런닝로열티를 통한 장기적 매출도 기대된다.

단순 가능성이지만, GC녹십자가 인도네시아 정부와 협력을 이어가면서 백신 플랜트 또는 제품까지 수출하게 된다면 더 많은 매출 확보가 가능하다. 인도네시아의 의약품과 백신 시장 규모는 2021년 약 30억달러(약 4조원)에 달한다. 연평균 성장률(CAGR)은 5.5%를 기록 중이다. GC녹십자가 향후 백신을 통해 인도네시아 시장 2%만 점유해도 매출 약 1000억원을 추가로 확보하는 셈이다. 이밖에도 성장하는 인도네시아 시장 상황에 맞춰 일반 케미컬 의약품 플랜트 수출도 이뤄질 수 있다.

업계에서는 인도네시아 플랜트 수출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가 상당하기 때문에 GC녹십자의 연 매출이 3조원까지도 근접할 수 있으며, 유한양행을 넘어 전통제약사 No.1 자리를 차지할 절호의 기회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SK플라즈마도 극적인 매출 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SK플라즈마가 3000억원을 들여 건설 예정인 인도네시아 플랜트는 연간 100만ℓ의 혈액제제 생산이 가능하다. 이는 현재 국내에서 가동 중인 안동 공장의 1.6배 규모다. SK플라즈마가 지난해 국내에서 알부민과 베리플라스트 등 혈액제제 생산을 통해 확보한 매출이 1467억원 가량인 점을 고려했을 때, 단순 계산시 인도네시아 플랜트를 통해 약 2300억원의 매출이 예측된다.

다만, 인도네시아 정부와 계약 등에 따라 국내와는 제품 가격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단순 계산 매출과 실제 매출에는 다소 차이가 있을 전망이다.

인도네시아의 성장 잠재력은 GC녹십자와 SK플라즈마 실적 기대감을 더욱 높여주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인구는 약 3억명에 달하지만 혈액제제는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현재 인도네시아의 혈액제제는 제한적인 시장 상황에서도 그 규모가 1000억원에 육박한다. 국내 기업들의 바이오 플랜트 수출을 통해 자급화가 이뤄지는 경우 폭발적인 시장 성장이 예상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경우 국내 출산율 저하와 총 인구수 감소에 따라 내수만으로는 실적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었다. 하지만 바이오 플랜트 수출을 통한 글로벌 무대 진출은 이런 단점을 단번에 극복하면서 매출 상승세에 불을 붙여줄 전망이다.

증권업계 등에서 추정한 SK바이오사이언스의 매출은 올해 1671억원, 2024년 2200억원, 2025년 2283억원으로 큰 변화 없이 소폭 성장에 그치지만 국내 시장에서 벗어나 해외 매출이 본격화 되는 경우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해외 플랜트에서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을 시작으로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의 생산도 이뤄지길 기대 중이다. 남미 등 남반구까지 플랜트 수출이 이뤄지는 경우 하반기 뿐 아니라 상반기에도 독감백신 생산 및 매출 효과를 볼 수 있는 셈이다.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선진국 또는 이미 상당히 개발된 국가에서는 다국적 제약사가 자리를 선점해 진출하기가 쉽지 않지만, 동남아와 중동 등은 아직 미개척 지역으로 틈새시장을 노린 전략으로도 풀이된다”며 “개발도상국 등의 성장에 따라 실적도 급상승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