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 결정문을 받아보면서 인권위 24년 역사 속에서 치욕적인 날이 있을까. 인권위의 존립 그 자체를 흔드는 거라고 봤다”고 말하기도 했다.
최 전 위원장은 임명 당시부터 자격 시비가 있었던 검사 출신 김용원 상임위원 등 윤 대통령 집권 후 인권위원으로 임명된 이들이 이번 안건 상정을 포함해 인권 가치와 동떨어진 행태를 보이며 전횡을 일삼고 있는 데 대해서도 안타까움을 전했다.
최 전 위원장은 “인권적 가치를 공감하지 못하는 그런 분들, 민주주의, 사회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권에 대한 감수성이 정말 0인 것 같은 이런 분들이 오셔서 인권위를 자신의 목적과 방향을 위해서는 마음대로 썼다”며 인권위 운영 파행에 대한 개탄의 감정도 드러냈다.
최 전 위원장은 탄핵 심판 과정에서 윤 대통령이 “특권에 가까운 정도의 예우를 받고 있다고 생각을 한다”며 방어권 보장을 인권위가 권고한 것이 “정말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최 전 위원장은 “윤 대통령의 경우에는 사실 경찰이나 공수처에서 가서 조사를 할 때 다 불응하지 않았나. 그리고 경호처를 앞에 걸고 다 불응하고 했기 때문에 정당한 보호를 주장할 수가 없다고 생각한다”고도 말했다.
최 전 위원장은 문제의 안건 심의를 강행한 일부 인권위원들에 대해서는 “계엄과 비슷한 인식들을 갖고 계신 게 아닌가 싶다”고도 말했다.
최 전 위원장은 임기 3년의 인권위원 구성과 관련해 이같은 파행 운영을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제안하며 인터뷰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