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尹 출석한다" 반복되는 헌재 앞 혼란, 한숨 쉬는 상인들

박순엽 기자I 2025.02.04 17:40:00

尹 대통령 출석 때마다 통행 제한…상인들은 한숨
“혼란 속 손님 40% 줄어…어수선한 분위기도 문제”
반중 정서 드러내는 집회에 ‘관광객 줄어들까’ 걱정
‘탄핵 촉구’ 시민단체 집회도 평일마다 인근서 열려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매주 두 회 윤석열 대통령이 출석하는 탄핵심판이 진행되면서 헌법재판소 앞은 혼란이 반복되고 있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변론기일 때마다 헌재로 모여들고 있어서다. 이에 대통령 경호와 헌재 방호를 이유로 헌재 일대의 통행이 일시적으로 제한되면서 인근 상인과 주민들의 불편함은 점차 커지고 있다.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재 앞 도보를 경찰이 통제하고 있다. (사진=박순엽 기자)
4일 오후 이데일리가 찾은 서울 종로구 헌재 앞은 경찰 경비가 평소보다 한층 삼엄해진 모습이었다. 헌재에서 윤 대통령이 출석하는 탄핵 심판 5차 변론기일이 진행되면서다. 경찰은 인파가 몰릴 것을 대비해 헌재 주변 인도에 질서 유지선을 설치하고, 헌재 앞 왕복 4개 차선 중 2개 차선을 경찰 버스를 이용해 막았다.

경찰은 또 윤 대통령 출석 이후엔 헌재 앞 도로를 완전히 통제하면서 차량이 통행할 수 없도록 했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집회가 열리는 지하철 안국역 5번 출구 앞과 헌재 사이엔 집회 참가자들이 갑자기 헌재 인근으로 진입하는 상황을 막고자 높이 4미터(m)가량의 임시 차단벽도 설치됐다. 경찰은 헌재 일대에 기동대 50개 부대, 3000여명을 배치했다.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재 앞 안국역 사거리에 높이 4미터(m)가량의 임시 차단벽이 설치돼 있다. (사진=박순엽 기자)
이날은 인근 도보를 완전히 통제했던 앞선 변론기일 때와 달리 헌재 정문 앞을 제외하고는 일부 통행을 허용하긴 했으나 길목마다 질서 유지선 등을 이용해 한 사람 정도만 드나들 수 있게끔 통행량을 조절했다. 길목에 선 경찰관이 헌재 쪽으로 들어서는 시민에게 목적지를 묻는 등 출입을 통제하는 모습도 보였다.

경찰은 이를 통해 지난달 19일 발생한 서울서부지방법원 폭력 사태와 같은 돌발 상황을 막겠다는 방침이지만, 인근 상인들은 변론기일 때마다 헌재 인근 통행이 제한되는 데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 헌재 인근 식당에서 일하는 김모(42)씨는 “경찰 버스로 길도 막히고 주변이 혼란스럽다 보니 평일 점심 손님이 30~40%는 줄어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상인들 사이에선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헌재 앞 집회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영업에 피해를 보고 있다는 볼멘소리도 나왔다. 헌재 맞은편 도보에선 변론기일과 관계없이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1인 시위를 벌이는 등 어수선한 분위기가 이어지면서 이곳을 찾지 않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늘기 시작했다는 게 이들의 얘기다.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재 앞 질서유지선에 반중 관련 문구가 담긴 손팻말이 붙어 있다. (사진=박순엽 기자)
특히, 중국 관광객 등을 상대하는 상인들은 일부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짱깨’·‘노 차이나’(No China) 등 노골적인 반중(反中) 관련 문구가 담긴 손팻말을 들고 집회에 나서면서 관광객들이 위협을 느끼고 있다는 점에 우려를 나타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지난달 한국에 체류 중인 자국민과 관광객에게 집회 장소와 거리를 두고 안전에 주의하도록 당부하기도 했다.

한편, 윤 대통령이 매주 두 차례 진행되는 탄핵 심판 변론기일에 직접 출석하겠다고 말한 만큼 헌재 앞 혼란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시민단체 ‘촛불행동’도 평일 오후 7시마다 헌재 인근 열린송현녹지광장 입구에서 ‘윤석열 파면 촛불문화제’를 열고 있다.

윤석열 탄핵 심판

- 가세연 "'尹 파면 현수막' 정치적 중립 위반"…부여군수 "사비 사용" - 이준석 “尹정부, 가장 극명한 정책 실패가 교육개혁” - 경찰, 尹 탄핵심판 선고일 전국 '갑호비상' 발령…2만여명 동원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