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는 타이밍이다. 통상 규제 해제는 시장 상황이 안 좋을 때 처방전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올해 초부터 이미 서울 핵심 지역 부동산이 슬금슬금 오르는 현상이 포착됐다. 지난해 하반기 곳간을 닫은 은행들이 새해 ‘대출 총량 목표치’가 재설정되자 다시 문을 열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앞다퉈 금리 인하에도 동참했다. 그렇다면 누가 봐도 상반기 집값, 그것도 강남 집값 상승을 예상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 때문에 오 시장이 조기대선을 염두에 두고 조기에 토허제를 푼 것 이니냐는 이야기가 곳곳에서 나온다. 강남권 숙원인 토허제 해제를 통해 핵심 지지층의 표를 얻기 위함이 아니냐는 의심이다.
이제 와 정책 신뢰도를 일거에 무너뜨리는 토허제 재지정에서도 나서기 어렵다. 재지정을 한다 해서 집값을 잡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집값 상승은 비강남까지 번질 기세다. 한 번 오른 집값은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다. 역사상 강남 집값을 인위적으로 잡은 사례를 찾기도 어렵다.
정부는 오는 7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를 실시하겠다는 방침이다. 대출을 조이면 현금 여력이 있는 강남권 실수요자보다 비강남권 서민들에게 더 큰 악영향을 미친다. 역설적으로 정부 정책으로 인한 모든 피해는 내 집 마련이 꿈인 서민들에게 돌아가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