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경제 매체 제일재경은 최근 급값이 하락하면서 소비자들의 금 현금화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여러 은행들이 금 환매 사업을 출시하거나 홍보하고 있다고 17일 보도했다.
제일재경에 따르면 이달 들어 농업은행, 공상은행, 건설은행, 우체국저축은행, 핑안은행 등 약 10개 은행이 금 환매 업무를 진행 중이다. 금 환매란 말 그대로 은행들이 고객에게 팔았던 금을 다시 사들이는 것이다.
대부분 은행은 당행에서 판매한 골드바(금괴) 대상으로 환매하고 있다. 선전 지역에서 금을 환매하기 위해 은행을 찾았다는 한 투자자는 제일재경과 인터뷰에서 “전당포가 금은방에 비해 은행의 금 환매 업무가 더 규범적이고 투명하고 위험도가 낮다”며 “때로는 금은방 등에 디해 금 환매가격이 더 높을 때도 있다”고 전했다.
금을 환매하려는 수요는 많다. 제일재경은 일부 은행의 경우 지정 지점에서 금 상품을 환매할 수 있는데 온라인으로 예약해야 하며 현재 최소 일주일 이상을 기다려야 한다고 알렸다고 보도했다.
선전의 한 대형 국유은행 영업점 직원은 “현재 금 매입을 위해서는 먼저 온라인 예약이 필요한데 현재 예약은 3월말까지 완료됐다”고 전하기도 했다.
금 환매 수요가 높은 이유는 최근 금값이 최고 수준을 기록하다가 주춤한 영향으로 보인다. 국제금시세는 지난해말 온스당 2461달러에서 이달 13일 2945.4달러까지 치솟았다. 이튿날인 14일에는 2900.7원으로 하락했다. 금값이 고점에 달했다는 판단에 투자자들이 금 되팔기에 나서는 것이다.
다만 여전히 금을 사 모으는 수요도 적지 않다. 제일재경은 일부 은행이 팔고 있는 골드바의 경우 물량이 없어 품절됐거나 사전 판매 방식으로만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아직도 금값이 오를 것이라고 보는 투자자들이 있다는 의미다.
금 가격은 앞으로도 계속될까. 중국 현지 매체들은 금값이 차익 실현 등으로 조정을 겪고 있지만 당분간 강세장이 지속될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우선 중앙은행의 금 매입이 지속되고 있다.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의 금 보유량은 7345만온스로 전월대비 36만온스 증가했다. 이는 중국 금 보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인민은행이 꾸준히 금 매입을 늘려가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TF증권 리서치 인스티튜트의 우카이다 수석 전략가는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GT)와 인터뷰에서 “전세계, 특히 신흥 시장의 중앙은행들이 금 보유량을 계속 늘리고 있는데 이는 금 시장을 강력하게 지지하고 거래에 사용할 금의 양을 감소시킨다”며 “몇 년 내 미국 국채 만기가 정점이 될텐데 외국 중앙은행이 롤오버(만기 연장)하지 않으면 금을 대체품으로 선택할 수 있다”고 전했다.
앞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도 금값에 영향을 미칠 변수다. 일단 관세 전쟁 여파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고 금 자체에 관세를 매기겠다는 의견도 있기 때문이다.
화타이증권연구소의 장치장 소장은 “금 가격은 단기적으로 차익거래 같은 투자자의 행동에 큰 영향을 받으며 관세 정책 변화에 더 민감할 수 있다”며 “미국이 금에 10% 등 관세를 부과하거나 시장의 기대감이 계속 커지면 금은 추가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