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2인은 계엄 당일 경찰기동대 등 병력을 동원해 국회 출입을 차단하고, 여야 대표 등 주요 인물 체포를 위한 합동체포조 편성에 가담한 혐의를 받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과천청사와 선거연수원 등에 경찰을 투입해 서버 탈취를 시도한 혐의도 있다.
윤 대통령은 계엄 당일 선관위에 병력을 투입한 것은 부정선거 등으로 추정되는 문제 확인을 위한 시스템 점검 차원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 청정과 김 전 청장의 증언에 따라 윤 대통령 측 주장에 힘이 실릴지 여부가 주목된다. 앞서 조 청장은 건강 상의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한 뒤 지난달 23일 신문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바 있다.
이 가운데 헌재는 윤 대통령 측의 선관위 서버에 대한 감정 신청을 기각했다. 천 공보관은 선관위 서버 감정 신청을 기각한 이유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전날 5차 변론기일에서 재판장이 고지했는데, (이번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판단에서) 필요성 및 관련성이 부족했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답했다.
윤 대통령 측은 전날 헌재에 오욱환 변호사를 추가 선임하는 소송위임장을 제출했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 측 변호인단은 총 17명으로 보강됐다.
|
이날 오전 기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에서 헌재에 추가로 제출된 증인신청은 없는 상태다. 현재까지 지정된 탄핵심판 증인신문 일정은 △6차 변론(2월 6일)에 김현태 707특임단장, 곽종근 육군 특전사령관,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 △7차 변론(2월 11일)에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김용빈 선관위 사무총장 등이다. 8차 변론에선 조 청장과 김 전 청장을 비롯해 윤 대통령 측 증인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의 증인신문이 예정돼 있다.
잇따른 추가 증인신문으로 탄핵심판 변론이 추가로 지정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천 공보관은 “이는 재판부에서 결정할 사항이라 현재로선 말하기 어렵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