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는 5일 이사회 보고를 거쳐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
SK하이닉스 관계자는 “부문별 관련된 기능을 통합해 원팀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했다”며 “곽노정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C-레벨 핵심 임원들이 주요 의사결정을 함께 이끌고 시장과 기술 변화에 더 민첩하게 대응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개발총괄과 양산총괄은 이번에 신설한 조직이다. 개발총괄 조직은 D램과 낸드플래시, 솔루션 등 모든 메모리 제품의 개발 역량을 결집한 곳이다. 차세대 AI 메모리 등 미래 제품 개발을 위한 전사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
양산총괄은 메모리 전(前)공정과 후(後)공정 양산을 담당한다. 공정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향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포함해 국내외에 건설할 팹(Fab)의 생산기술을 고도화해 통합적 관점에서 주도한다.
또 회사는 대외협력과 글로벌 업무 관련 조직에 외교 통상 전문가를 다수 배치했다. ‘트럼프 2기’ 출범 등 세계 주요국의 반도체 정책과 급변하는 지정학 이슈에 기민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다.
동시에 SK하이닉스는 신규 임원 33명을 발탁해 과감한 세대교체를 단행했다. 젊고 유능한 인재들이 새로운 시각으로 고객 요구와 기술 트렌드에 부합한 미래 성장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신규 임원 중 약 70%는 차세대 반도체 개발 등 기술 분야에서 발탁해 기술회사의 근원적 경쟁력 확보에 주력했다. 특히 고대역폭메모리(HBM), D램 등 주요 제품 경쟁력 강화에 탁월한 성과를 낸 조직에서 인재를 등용하며 성과주의 원칙을 재확인했다.
곽노정 대표이사는 “경영 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는 만큼 이번 인사를 통해 기존 사업과 미래 성장 기반을 리밸런싱(Rebalancing)하고 AI 메모리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