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제6차 수출전략회의’를 갖고 “미국 신정부 정책이 연이어 발표되면서 올해 수출은 어느 때보다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글로벌 통상환경이 실시간으로 변화하고 있는 만큼 ‘바람에 맞추어 돛을 바꾸듯’ 해법을 계속 마련해 가야 한다”고 했다.
최 권한대행은 또 “향후 관세부과에 따른 기업 피해가 구체화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재정 지원 방안도 적극 강구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기업 피해 지원을 위해 역대 최대인 366조원의 무역금융을 공급하고 상반기 수출 바우처 예산의 90% 이상을 투입하는 등 기존 지원책과 함께 추경 편성까지도 고려할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정부는 기업 지원책으로 △원산지 증명 컨설팅부터 대체판로 개척까지 패키지로 지원하는 ‘관세 대응 수출바우처’ 도입 △6월까지 무역보험·보증료를 50% 일괄 감면하고 피해기업에 대한 보험한도 최대 2배까지 확대 △통상환경 변화로 해외 사업장을 조정하는 기업이 국내로 빨리 복귀할 수 있도록 유턴기업 세제지원 및 보조금 강화 등을 내놨다.
최 권한대행은 “과거 실적이 미흡해도 미래 성장성이 높은 중소·중견기업은 특례제도 등을 통해 수출자금을 파격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며 “기존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수출품목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또한 “디지털 서비스 수출지원을 위해 ‘테크서비스 전용 바우처’를 도입하고 우리 기업의 전자·정보통신(IT) 분야 해외 전시회 참여 지원도 확대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이 밖에도 한류를 이끄는 화장품 시장에 유망기업이 진입하고 성장하도록 ‘K-뷰티론’을 신설하고, 면세점 내 입점도 적극 지원한다. 또한 딸기·포도, 김·굴, 쌀가공식품 등 유망한 농수산식품 수출을 위해 주요국에 공동물류센터와 콜드체인을 확대하고, 통관·검역 등 비관세장벽에도 철저히 대응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