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단체는 지난 17일에도 이 아파트 인근에서 문 권한대행의 사퇴와 윤 대통령의 무죄를 촉구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편파적 졸속심리 문형배 집 찾아가 욕하고 공격하자’며 탄핵심판 종결까지 매일 오전 7시 30분과 오후 6시에 출퇴근길 집회를 예고했다.
이 모습을 지켜보던 시민들은 위협감을 조성하고 있다며 눈살을 찌푸렸다. 자녀의 어린이집 등원을 돕던 아파트 주민 박모(28)씨는 고개를 좌우로 흔들면서 “집 안에서도 소리가 다 들리는데 오늘 이렇게 코앞에서 시위할 줄 몰랐다”고 말했다. 박씨는 “집값을 떨어뜨리겠다고 하는데 교통도 진짜 나빠지고 너무 살기 어렵다”며 “동네를 빨리 떠나야지 싶다”고 한숨을 쉬며 했다. 박씨의 이웃인 조모(37)씨도 “아이들 보기에도 나쁘고 소음이 심하다”며 “지금 이 상황이 빨리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거 공간과 집회 현장이 구분되지 않으면서 아파트 측의 민원 부담도 늘고 있다. 이날 해당 아파트의 생활지원센터장은 ‘입주민도 평온한 삶을 영위할 권리가 있다’며 ‘후문에서의 집회를 거둬달라’는 내용의 안내문을 들고 주최 측에 퇴거를 거듭 요청했다.
집회 직후 취재진과 만난 생활지원센터장은 “아파트 주민 커뮤니티에 집회에 대한 불편 글이 계속 올라오고 있다”며 “관리소장으로서 가만히 있을 수도 없고 답답하다”고 한숨을 쉬며 말했다.
실제로 이날 오전 아파트 주민 커뮤니티에는 전날 오후 7시 17분에 작성된 민원성 게시글이 있었다. 작성자는 ‘조용해야 할 시간에 주거지에서 소음을 일으키고 있을 뿐 아니라 주민에게 위협감을 일으키고 있다’며 ‘집회의 권리가 절대적 권리인 것은 아니며 주거지의 평온 및 공공의 질서를 해지면서까지 보장받을 수 있는 권리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 글에는 58명이 공감 표시를 눌렀다.
이처럼 주민 불편이 잇따르자 경찰은 집회 현장에 1개 기동대를 배치하고, 도로 진입로에 철제 펜스를 설치해 차량과 시민 이동을 통제했다. 아울러 경찰은 현재 헌법재판관 전원에 대해 전담 경호팀을 배치해 개별 경호와 자택 안전관리를 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