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최근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부정선거 주장에 동조한 적은 없다”고 밝히며 당 공식 입장은 부정선거 음모론과 결은 달리하고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애매한 대응은 더불어민주당의 반응에 따른 전략으로도 풀이됩니다. 선관위 공격에 민주당이 강렬히 반발하자 공격 카드로 활용하고 있는 셈입니다.
|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지난 6일 신년 기자간담회가 끝난 후 입장문에서 “부정선거와 제도보완은 엄연히 다른 내용”이라며 “국민이 의구심을 가진다면 제도를 재고할 필요성에 대해 말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부장선거 주장에는 동조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나, 그 존재 여부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지도부차원에서 내진 않은 것이죠.
당 내부에서는 부정선거 가능성에 대해서 굉장히 낮게 바라보고 있습니다. 경제인 출신 의원도, 법조인 출신 의원도 대부분 부정선거는 ‘없다’는 게 중론입니다.
다만 강성 보수 지지층이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만큼 너무 선을 긋기도 어려운 현실입니다. 8일 국민의힘 당원게시판에도 여전히 부정선거를 외치는 지지자분들이 많은 상황이죠. 이에 박수민 의원은 “국민이 의구심을 갖지 않도록 투표 절차와 방법 등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며 일명 ‘부정선거 논란 해소 특별법’을 발의한 바 있습니다.
다만 민주당이 이러한 국민의힘의 공세에 반발을 이어가는 건 보수 진영에 호재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습니다. 다수 국민의힘 관계자들은 ‘선관위 제도 개선을 외쳤더니 민주당이 방어하고 나서는 흐름이 됐다’며 지금 ‘여당의 공세·야당의 방어’ 포지션은 정치적으로 이득일 수 있다고 분석했죠.
|
이에 따라 이들은 향후 사전 투표 폐지 주장, 선관위 공정성 지적 등 공세를 이어가며 강성 지지층을 달래고, 부정선거와는 선을 그으며 중도층에도 손을 내밀 것을 보입니다. 국민의힘의 부정선거와의 애매한 동거는 언제까지 이어질까요?